스포츠조선

언더독 잔치가 된 유로2016 예선, 그 원인은?

박찬준 기자

기사입력 2015-10-13 00:19


ⓒAFPBBNews = News1

유로2016은 언더독의 대회로 기억될 듯 하다.

변방으로 평가받은 축구 약소국들이 대거 프랑스행 티켓을 따냈다. 사상 첫 유럽선수권대회 본선행에 성공한 아이슬란드, 웨일스, 알바니아가 대표적이다. 이 밖에 오스트리아, 북아일랜드, 루마니아 등 중심에서 멀어진 국가들도 유로2016 본선에 합류했다.

지난 유로2012에 참가한 유럽팀들의 면면과 비교하면 변화의 폭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유로2012에 나섰던 16개팀들은 공동개최국이었던 폴란드, 우크라이나를 비롯해 체코, 그리스,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아일랜드, 독일, 포르투갈, 덴마크, 네덜란드, 잉글랜드, 프랑스, 스웨덴이었다. 아일랜드 정도가 이변이었지만, 강호들이 빠짐없이 본선행에 성공했다.

유로2016 예선에서는 상황이 달라졌다. 스페인, 독일, 잉글랜드, 이탈리아, 포르투갈 정도만이 체면치례를 했을 뿐 다른 강호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대신 변방들이 약진했다. 아이슬란드는 네덜란드, 체코, 터키 등이 포진한 죽음의 조를 일찌감치 탈출하는 이변을 연출했고, 라이언 긱스의 전성시대에도 메이저대회 문턱을 넘지 못했던 웨일스는 가레스 베일을 앞세워 새로운 역사를 썼다. 변방 중의 변방인 유럽의 약소국 알바니아는 그야말로 기적의 드라마를 만들어냈다.

이처럼 변방들이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2008년 유럽축구연맹의 결정에서 시작됐다. 유럽축구연맹은 2008년 유럽선수권대회를 2016년부터 16개국에서 24개국으로 늘리기로 했다. 유럽 축구 전체의 부흥을 위한 결정이었다. 이 결정으로 강호들 틈바구니에서 숨죽이던 중위권 팀들이 기지개를 펼 기회가 마련됐다. 각 조 별로 최대 세 팀이 본선 직행을 노릴 수 있게 된 만큼, 중위권 팀들의 전략 자체가 달라졌다. 예전 같으면 포기했던 강호들과의 경기에서도 큰 동기부여를 갖고 할 수 있게 됐다. 중위권팀들의 선전을 지지하던 유럽축구연맹의 의도대로 중위권팀들이 상위권팀들을 잡는 이변이 여러차례 나왔다.

하지만 이번 예선에서 보인 변화의 폭은 예상보다도 컸다. 스페인, 독일, 잉글랜드, 이탈리아 이른바 4대 빅리그를 보유한 팀들을 제외하고 다른 기존 강호들의 부침이 컸다. 네덜란드가 좋은 예다. 개인기량보다 조직력이 좋은 팀들이 강세를 보였다. 알바니아는 이렇다할 스타는 없지만 원팀으로 본선행에 성공했다. 강력한 조직력, 내년 여름 열리는 유로2016의 새로운 트렌드를 예고하는지도 모르는 이번 예선이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