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공부하는 구단이 이길 수 있다!
10개 구단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은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 타자, 투수 모두 먹고 사는 문제가 달렸다. 당장 스트라이크, 볼 판정을 로봇이 한다. 분명 사람이 판정하는 것과 존 자체가 다르다. 그런데 이제 항의도 못한다. 무조건 따라야 한다.
결론은 하나다. 로봇심판이 어떤 공을 스트라이크로 잡아주는지 치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투수는 어떻게 던져야 로봇심판을 공략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하고, 타자는 그 특성을 이해해 존을 설정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각 팀 감독과 투수코치들은 어느 궤적으로 존을 통과할 때 타자들이 공략할 수 없을지를 공부해야 한다. 그리고 선수들이 그 공을 던질 수 있는 연습을 충분히 시킬 필요가 있다. 슬라이더 각이 좋은 투수가 있다면, 바깥쪽 존을 거쳐 포수가 잡을 때는 육안으로 볼 때 볼이 되는 공을 던지게 해야 한다.
투수도 타자 공략에 신경을 써야 한다. 타자마다 존이 다 달라지지만, 원칙은 하나다. 타자의 임팩트 동작 때 무릎부터 팔꿈치까지가 존이다. 김선빈, 김성윤(삼성)과 같이 체구가 작은 선수들은 상대적으로 유리해질 수 있다. 존이 좁아진다. 투수가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 정도 체격의 타자면, 존이 어떻게 설정되는 지를 미리 공부해야 수싸움이 수월해질 수 있다.
사람이 판정을 할 때 스트라이크와 볼의 기준은 칠 수 있느냐, 없느냐가 1번이었다. 예를 들어 마지막 포구 순간은 존 안에 들어와도, 소위 말해 '아리랑볼'같은 공이 와 타자가 칠 수 없다는 판단을 심판이 하면 볼이었다. 하지만 로봇은 그런 걸 가리지 않는다. 무조건 정해진 네모 존 안에만 걸치게 하면 스트라이크 판정을 내린다. 일찍부터 준비하는 팀이, 개막 후 초반 혼선을 줄일 수 있다. SSG 랜더스는 지난 시즌 개막 10연승의 힘으로 통합우승까지 차지했다. 시즌 초반을 망치면, 기회는 사라진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