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마의 신' 양학선(30·수원시청)이 또다시 도전에 나선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양학선은 '로페즈(난도 5.6,손 짚고 옆돌아 몸펴 뒤공중 돌며 3바퀴 비틀기, 일명 스카하라트리플)'과 '양학선(난도 6.0, 도마 앞 짚고 몸펴 앞공중 돌며 3바퀴 비틀기)' 기술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양학선을 멘토 삼은 신재환(24·제천시청) 역시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요네쿠라(난도 6.0, 손 짚고 옆돌아 몸펴 뒤공중 돌며 3바퀴반 비틀기)' '여2(난도 5.6, 도마 앞 짚고 몸펴 앞공중 돌며 2바퀴반 비틀기)'기술로 9년만의 금메달을 따냈다.
|
|
양학선은 이번 선발전에선 가장 익숙한 '여2'와 함께 '시라이-김희훈'에서 반바퀴를 뺀 난도 5.2의 '슈펠트(Shewfelt)'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양학선은 "여서정 선수의 도마 2차 시기 유리첸코 기술에서 반바퀴를 더 도는 것"이라고 친절하게 설명했다.
양학선은 "중학교 1학년 때 체조를 배울 때 연습했던 기술인데 10여 년만에 다시 해보니 감회가 새롭다"고 했다. 강철도 씹어먹을 나이, 겁없이 날아올랐던 소년이 '라스트댄스'를 앞둔 서른에 다시 초심으로 돌아갔다. "1월부터 3개월쯤 연습했는데 아직 완벽하진 않다. 생갭다 시간이 오래 걸린다. 선발전선 무리하지 않고 2바퀴 반만 돌 것"이라며 웃었다.
도쿄올림픽을 앞둔 2020년 '품절남'이 된 양학선, 이미 10년 전 올림픽, 세계선수권,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다 휩쓴 그는 고통스러운 부상 시련 속에서 한번도 체조의 길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리고 2022년, 양학선의 후예들과 함께 새 기술을 장착해 선발전에 도전한다.
요즘 어떤 마음으로 체조하고 있는지 물었다. 양학선은 "즐기고 있다"고 답했다. "은퇴하면 더 하고 싶어도 못한다. 햄스트링은 여전히 불안하지만 다쳐서 못하나 겁을 내서 못하나 똑같다. 겁내서 못하면 후회가 남을 것같다. 할 수 있을 때 후회없이 마음껏 뛰자, 이겨내보자, 성적에 미련 두지 말고 후회없이 해보자란 생각으로 즐기고 있다"고 말했다.
도마는 집중력이다. 재능을 타고난 양학선의 그간 훈련 스타일은 양보다 질이었다. 양학선은 "요즘 도마 훈련을 하루 한 시간 넘게 한다. 새 기술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 연습량을 늘렸다"고 했다. "예전엔 아프면 쉬었지만 지금은 그 상태에서 오히려 한번 더 뛴다. 다치면 다치는 거고, 부상과 같이 가는 거다. 그렇게 트라우마를 극복하려 한다"며 웃었다.
선발전 목표도 또렷하다. "항저우아시안게임 티켓이 목표다. 오랜만에 6종목 모두 출전한다. 어린 선수들보다 기술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실수 없이 내 100%를 해내는 것이 목표다."
논어에서 서른 살 '이립(而立)'은 스스로 뜻을 세우고 온전히 설 수 있는 나이다. 스무 살, 거침없이 날아오르던 패기만만 양학선도 아름다웠지만, 서른 살, 체조인생의 모든 것을 걸고 '그래도 도전!'을 외치는 용감무쌍 양학선은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