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가을 기자]과거 씨름의 인기를 이끌던 '지역 장사' 타이틀이 부활한다.
영광의 시대는 오래가지 못했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이후 프로팀이 하나둘 해체를 선언했다. 대한씨름협회 내에서 민속씨름을 주관하던 한국씨름연맹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렇게 세월이 흘렀다. 한동안 잠들어 있던 씨름이 부활의 기지개를 켜고 있다. 지난 2018년 씨름이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등재되며 세계의 유산으로 거듭났다. 준수한 외모에 출중한 실력까지 겸비한 '씨름돌'(씨름+아이돌의 합성어) 등장도 씨름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
변수가 발생했다. 지난해 말 발병한 코로나19 때문이다. '부활한' 민속씨름은 지난 4월 본격 항해에 나설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대회 일정을 연기했다. 우여곡절 끝 8월 영월에서 새롭게 깃발을 꽂는다. 협회 관계자는 "지역 장사 타이틀을 걸고 치르는 대회는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올해 총 10회에 걸쳐 대회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일정이 밀리면서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해졌다. 계획보다 적은 8~9차례에 걸쳐 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새 물결 앞 변화도 있다. 이번 대회부터 단체전을 도입할 예정이다. 단체전은 4강 선발까지 단판제(7전4승제), 준결승부터 3판2승제로 진행한다.
한편, 협회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방역과 안전에 만전을 기한다는 각오다. 씨름은 몸을 밀착시켜 경기를 펼친다. 이러한 특상 탓에 감염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있다. 대회는 사전에 허가된 인원 외에는 경기장 출입을 제한, 충분한 간격을 유지를 할 예정이다. 대회장뿐만 아니라 선수 대기실과 임원석을 하루 3회 소독하는 등 기본 매뉴얼을 정했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