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러시아의 리우행, 종목별 개별판단 결정에 갑론을박

정현석 기자

기사입력 2016-07-25 11:05




러시아 장대높이뛰기 선수 이신바예바. ⓒAFPBBNews = News1

러시아의 올림픽 참가를 놓고 논란이 뜨겁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지난 24일(이하 한국시각) 러시아의 리우올림픽 출전 여부를 종목별 국제경기단체의 판단에 맡기기로 결정하면서 후폭풍이 거세다. 다음달 6일 개막하는 리우올림픽 종목은 총 28개. 러시아 선수 출전에 대한 각 종목 별 입장은 제 각각이다.

우선 논란의 전면에 있었던 육상과 역도는 출전이 금지됐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의 출전 금지 결정에 러시아 육상은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판단을 구했지만 CAS는 IAAF 손을 들었다. 국제역도연맹(IWF)도 6월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에 1년간 자격정지 처분을 내려 리우올림픽 출전을 금지시켰다. 조정도 출전이 금지될 공산이 크다. 국제조정연맹(FISA)은 최근 러시아 선수들의 2011년 이후 도핑 샘플을 전면 재조사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주요 종목들의 출전은 이뤄질 전망이다. 18일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발표한 보고서에 언급된 러시아의 조직적인 도핑 조작의 구체적인 내용을 각 단체들이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 특히 손연재가 출전하는 체조의 경우 보고서에 러시아 사례가 언급된 바 없어 출전 금지될 확률은 희박하다. 반사 이익을 기대했던 손연재로선 아쉬운 상황이다. IOC는 이밖에 도핑으로 인해 징계를 받았던 러시아 선수의 경우 징계가 만료됐더라도 리우올림픽에 나오지 못하도록 결정했다.

하지만 이번 결정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특히 WADA 크레이그 리디 회장은 25일 "IOC가 우리의 충고에 귀를 기울이지 않아 실망스럽다"며 "러시아 정부와 정보기관까지 조직적으로 개입한 이번 도핑 파문은 '클린 스포츠'를 위협하는 심각한 행태"라며 전면 출전 금지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솜방망이 징계'라는 지적에 대해 "러시아 올림픽위원회에 매우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다"고 반박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