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2강' 펜싱코리아의 눈부신 질주가 계속되고 있다.
정 박사의 스텝 훈련은 주로 준비 운동으로 활용됐다. 주목할 것은 음악에 맞춰 진행된다는 점이다. 비트에 맞추기 위해 자기 몸을 컨트롤하고, 팔과 다리를 동시에 쓰는 협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음악은 경기에 맞게 3분 사이클로 끊었다. 정 박사는 "사실 3분이 쉬워 보이지만 계속 스텝을 하면 놓치는 경우도 있다. 훈련을 하면서 신체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펜싱이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여기에 다양한 비트를 통해 선수들의 반응성을 체크했다"고 했다. RPM120정도 되는 곡에는 2분30초 훈련 뒤 30초 휴식, RPM130이 넘는 곡일때는 2분 훈련 뒤 1분 휴식으로 진행됐다. 선수들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귀에 익숙한 가요와 팝을 트랙리스트에 넣었다. 씨스타의 '터치 마이 바디', 엑소의 '런' 등 인기 K-팝에 맞춰 발을 굴렀다. 선수들이 이에 어느 정도 적응되면 간단한 스텝에서 복잡한 스텝으로 방법을 바꿨다.
이 훈련법은 7월 카잔 세계선수권대회 이후 처음 시작됐다. 물론 처음에는 쉽지 않았다. 하지만 효과는 즉각적이었다. 이번 아시안게임 여자 사브르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이라진은 새롭게 도입된 스텝 훈련의 최대 수혜자였다. 정 박사는 "라진이는 파워가 좋았지만, 대신 부드러움이 떨어졌다. 스텝 훈련 후 몸을 쓰는 방법이 달라졌다. 전체적인 지구력과 체력을 배분하는 능력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고 했다.
정 박사는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좋은 성적이 나오고 있어 기분이 좋다. 스텝과 사이클 훈련을 규칙적으로 맞추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리우 올림픽을 위해 완벽히 시스템화 하는 것이 목표다"고 했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