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막 내린 핸드볼코리아리그, 희망과 과제는?

박상경 기자

기사입력 2012-09-25 08:49 | 최종수정 2012-09-25 08:56


◇인천시체육회 류은희가 23일 서울 방이동 SK핸드볼전용구장서 열린 삼척시청과의 2012년 핸드볼코리아리그 챔피언결정 2차전에서 슛을 시도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핸드볼협회

뿌리 깊은 나무는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모든 일은 기본을 착실히 다져야 제대로 이룰 수 있다. 대표팀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국내 저변부터 바로 세워야 한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지난 20년간 세계 무대를 누빈 남녀 핸드볼 대표팀의 기본은 그리 충실하지 못했다. 지난 2009년부터 세미 프로리그를 목표로 출범한 핸드볼코리아리그가 23일 4회 대회를 마무리 했다. 해가 다르게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개선해야 할 점도 분명하다. 2012년 핸드볼코리아리그에서 드러난 희망과 과제에 대해 짚어보자.

고정 팬 증가, 치열해진 경쟁구도

핸드볼 관계자들과 선수들은 올 시즌 가장 큰 변화로 '고정 팬 확보'를 꼽았다. 그동안 핸드볼코리아리그가 열리는 경기장에는 선수들의 가족과 지인, 몇 안되는 일반 팬이 관중석을 채우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이번 대회부터는 두산(남자부)과 인천시체육회, 삼척시청, SK슈가글라이더즈, 서울시청(이상 여자부) 등을 중심으로 고정적으로 경기장을 찾는 팬들이 늘어났다. 소수에 불과하지만 '뜨내기 손님'이 아닌 진짜 팬이 생겼다는 것 만으로도 선수들에게는 큰 힘이 될 만하다. 여자 대표팀 류은희(인천시체육회)는 "경기장에서 플래카드를 들고 응원해주는 팬들을 보면 신선한 느낌이 든다. 요즘에는 숙소로 편지도 곧잘 도착한다. 이제 남자 팬들도 생겼으면 좋겠다"며 웃었다. 핸드볼협회 관계자는 "런던올림픽을 전후해 팬들이 조금씩 정착해 가는 것이 고무적"이라면서 "앞으로 이들을 매개로 더 많은 팬을 확보하는게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올 시즌 들어 더욱 치열해진 경쟁 구도도 내년 시즌을 기대하게 할 만한 요인이다. 남자부에서는 두산이 리그 4연패를 달성하면서 여전히 극강의 면모를 보였다. 하지만 준우승팀 충남체육회나 웰컴론코로사, 인천도시공사의 기량도 예년에 비해 성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다음 시즌부터는 절대 우위를 장담할 수 있을지 불투명 하다. 여자부는 인천시체육회의 리그 2연패로 막을 내렸으나, 챔피언결정전에서 삼척시청에 한때 6골차까지 리드를 허용할 정도로 비슷한 전력을 드러냈다. 창단 첫 해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SK나 지난 4년간 전력을 다지면서 '제2의 삼척시청'으로 불리고 있는 서울시청도 내년 시즌에는 충분히 리그 우승에 도전할 만한 팀으로 평가를 받았다.

스타 없는 코트,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여전

물론 가능성보다는 개선해야 할 점이 아직도 많다. 최태원 회장과 핸드볼협회의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핸드볼은 여전히 '비인기 종목' 타이틀을 쉽게 떼지 못하고 있다. 선수층이 두텁지 않다보니 눈에 확 띌 만한 새로운 스타를 찾기가 힘들다. 런던올림픽을 계기로 권한나(서울시청) 같은 신예 발굴에 성공하기도 했지만, 아직까지 팬들의 뇌리에 각인될 만한 수준은 아니다. 핸드볼 아카데미나 유망주 사업 등 차세대 스타 발굴 작업은 계속되고 있으나, 해외 연수 등 좀 더 폭 넓고 체계적인 사업으로 스타를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팀별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여전하다. 재정적으로 안정된 일부 팀으로의 쏠림 현상이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일부 고교, 대학을 중심으로 특정팀 만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여자부는 내년부터, 남자부는 2015년부터 신인 드래프트제를 시행한다. 하지만 오는 12월 열릴 여자부 드래프트를 앞두고 일부 고교팀과 선수들이 '선택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조기 대학 진출이나 드래프트 포기 결정을 내리면서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핸드볼계 관계자는 "당장은 힘들수도 있지만, 팀에서 실력을 키워 본인 스스로 몸값을 올리면 분명히 좋은 기회가 오는데 아직까지 이런 인식이 일반적이진 않다"면서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1주일 사이에 몰아치기로 운영하는 대회 일정도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경기가 쉬지 않고 열리다보니 팬들 입장에서는 자연스럽게 관심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틀이 한 번 꼴로 경기를 치르는 선수들도 피로누적으로 인해 경기력이 후반기에 갈수록 떨어지는 경향도 두드러졌다. 주중 또는 주말을 경기일로 지정해 집중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이 요구된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