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처리기 시장에 지각 변동이 일어날 전망이다. 그동안 중견·중소기업이 시장을 주도해 왔지만,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대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삼성전자도 음식물 처리기 시장 진출 채비는 어느정도 마친 상태다. 2020년 '더 제로'라는 명칭의 음식물 처리기 상표를 출원했고, 2022년 '비스포크 더 제로'라는 상표권을 낸 바 있다. 상표 등록은 제품이나 서비스 출시 전에 이뤄지는 절차다. 제품 개발에 대한 내부 검토가 이뤄졌던 만큼, 출시 시기만 정해지지 않았을 뿐 제품 출시 가능성은 높다는 게 업계 전반의 분위기다.
그동안 중소, 중견 기업 중심으로 움직이던 음식물 처리기 시장에 대기업이 진출하려는 이유는 시장 성장세가 자리잡고 있다. 1인가구, 맞벌이, 실버세대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최근 수요가 늘었다.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도 시장 성장세를 이끄는 원동력 중 하나다. 시장조사기관 오픈서베이가 지난 3월 발표한 '가전제품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20∼59세 소비자가 향후 1년 이내 구매를 희망하는 가전 1위로 음식물 처리기(49.3%)가 선정된 바 있다.
한편 가전업계를 중심으로 대기업의 음식물 처리기 시장 진출에 대한 의견은 엇갈린다. 중견·중소기업의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에 따른 기능 향상·애프터서비스 등 품질 관리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란 긍정적 평가 등이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