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C형 간염은 혈액으로 전파되는 전염성 질환이며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의 만성간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대한간학회는 "C형 간염의 경우 무증상 감염이 대부분(약 70~80%)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없지만 경구용 치료제를 8~12주 투여할 경우, 98% 완치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무증상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증 간질환 부담을 줄임과 동시에 감염원을 제거해 C형 간염 전파 확산을 막는 최선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C형 간염 퇴치의 길이 전환점을 맞았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3일 개최된 제2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위원장 복지부 2차관)에서 국가건강검진에 C형 간염 항체검사 도입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2025년부터 만 56세(2025년 기준 1969년생)에 해당되는 사람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C형 간염 항체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대한간학회(이사장 서울의대 김윤준)와 한국간재단(이사장 서동진)의 노력의 결실로 평가 받는다.
이들은 그동안 많은 연구와 대국민 계몽 및 홍보 캠페인을 통해 C형 간염 바이러스 진단과 치료가 국민적 국가적인 과제임을 강조해 왔다.
최근 대한간학회는 질병관리청과 바이러스 간염 퇴치를 위한 정책 연구 사업을 진행했다. 특히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을 위한 연구- C형 간염 환자 조기 발견 시범사업(2021년)과 국가건강검진 항목 중 C형 간염 검진의 타당성 분석 연구 및 선별검진의 사후관리 방안(2022년),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진단 당시 진행 단계(섬유화) 별 분포 조사 및 질병부담 모형 개발(2022년) 연구 등을 통해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의 근거를 제시했다.
또한, 바이러스 간염(B형, C형) 퇴치 전략 개발(2022년) 연구를 통해 질병관리청이 '2023~2027년 제1차 바이러스 간염(B형, C형)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했다.
질병관리청에서 2023년 3월 발표한 '2023~2027년 제1차 바이러스 간염 관리 기본계획'은 2027년까지 바이러스 간염 사망률을 40%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능동적 전주기(예방-진단-치료) 간염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번에 결정된 C형 간염 국가 검진 도입 사업은 그 일환으로 결정됐다. 대한간학회는 이와 관련 "WHO 2030 바이러스 간염 퇴치 인증 목표 달성을 가능케하는 훌륭한 결정"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또한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를 조기에 찾아내어 완치의 길로 이끌어 이들이 간경변증, 간암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반겼다.
김윤준 대한간학회 이사장은 "C형 간염은 조기발견도 중요 하지만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치료를 간과하기 쉬운 질병"이라면서 "국민들께서는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C형 간염으로 진단 받으면 곧바로 치료를 시작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국가건강검진 내 C형 간염 검사 도입으로 우리나라에서 C형 간염 퇴치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정부에서는 대국민 홍보 강화, 임상진료지침 개발, 고위험군 대상 검진 및 치료사업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C형 간염이 홍역, 풍진, 폴리오에 이은 4번째 퇴치 감염병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청에서는 이번에 국가건강검진에 도입된 C형 간염 항체검사는 선별검사로써 검사결과가 양성이라고 할지라도 'C형 간염 환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현재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확진검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국민들께서 쉽게 확진검사를 받으실 수 있도록 확진검사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향후 대한간학회와 한국간재단은 질병청과 함께 C형 간염의 예방, 진단, 치료에서 적극적인 전문가 의견을 개진하고 연구하며 대국민 홍보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