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 순환기내과 진무년 교수가 최근 열린 대한부정맥학회 정기총회에서 '2022년 대한부정맥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및 세계보건기구 가이드라인이 권장하는 최소 운동량의 3분의 2 수준의 신체 활동을 실행한 참가자들은 신체 활동을 하지 않은 참가자에 비해 급성 심정지 위험이 낮아졌다. 아울러 최소 권장 운동량의 5배 이상 고(高) 운동량에서도 급성 심정지 위험이 높아지지 않았다.
갑작스러운 돌연사는 약물 중독이나 출혈 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심장 문제에서 나온다. 특히 심장 돌연사의 80~90%는 치명적 부정맥이 나타나면서 발현한다.
진무년 교수는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 약물치료나 ICD라고 불리는 삽입형 제세동기 시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모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적절한 운동관리이다. 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너무 과한 운동이 급성 심정지를 일으킬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에 운동을 주저하게 되는 큰 요인이 되기도 한다"며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적절한 신체활동을 제시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