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처럼 찬바람이 불고 기온이 급감하면 피로감을 느끼거나 컨디션이 저하되기 쉽다.
피곤하면 혓바늘이나 코피가 잦고, 다리와 배가 아프다는 말을 자주 하는 아이들도 있다. 운동을 하거나 야외 활동을 하고 나면 밤에 잘 때 다리에 쥐가 나기도 한다.
함소아한의원 노원점 최승용 원장은 "몸이 미처 대비하기 전에 외부 온도가 영하로 떨어져 추위를 느끼면, 호흡기, 피부 등 인체가 외부와 소통하는 창구의 기운이 약해진다. 이러면 평소 자연스럽게 흐르던 몸의 기운이 돌지 않아 피로함과 함께 어깨가 결리고 팔다리 여기저기가 쑤시며, 근육이 긴장하여 두통도 발생한다. 특히 허약한 아이들은 감기가 오기 전에 이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니 겨울철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쌍화탕은 몸을 따뜻하게 데워 주면서 기혈순환을 도와주는 처방이다. 특히 추운 날 냉기와 과도한 활동량으로 몸이 피로해지는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계지, 황기, 작약, 숙지황, 당귀 등의 약재로 구성되는데, 기혈의 순환을 빠르고 원활하게 해서 추위로 경직된 몸을 편안하게 풀어준다. 또한 아이들에게 잘 발생되는 몸속 열기가 한 곳에 뭉쳐 있는 현상을 해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이가 감기 기운을 보이며 으스스 추워하면서 몸살 증상을 보일 때 주로 처방을 하며, 콧물이나 인후통 증상이 있다면 다른 한방 감기약과 함께 복용할 수 있다. 쌍화탕의 매운맛을 줄여서 아이들이 먹기 편하게 처방하고, 시럽 형태의 연조엑스제로 복용하기도 한다.
냉기와 긴장이 집중되기 쉬운 경혈 자리에 뜸으로 따뜻하게 자극하는 뜸 치료도 추위를 대비한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날씨가 춥고 한파가 자주 발생하는 겨울에 아이들은 일찍 잠자리에 들고 수면시간을 늘려 푹 자게 하는 것이 좋다. 잠을 자는 동안 몸의 긴장이 이완되고 느린 기순환에 편안하게 적응하는 과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자기 전에는 수면양말을 신게 해서 몸을 따뜻하게 하고 아침까지 숙면할 수 있게 한다.
최승용 원장은 "아이들은 대체로 체열이 높기 때문에, 초저녁에 더워하는 경우가 많은데 깊이 잠들게 되면 다시 추워한다. 새벽에 혹시 추워하지 않는지 살펴보고 특히 머리를 창가에 두고 자지 않도록 유의하는게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