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취업난·물가급등에 청년경제고통지수 최고

강우진 기자

기사입력 2022-11-14 09:36 | 최종수정 2022-11-14 09:46


 ◇세대별 체감고통지수 추이. 자료제공=전국경제인연합회

올해 청년들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청년 취업난과 물가 급등 때문이다.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5.1이었다. 이는 60대(16.1), 30대(14.4), 50대(13.3), 40대(12.5) 등 다른 연령층보다 높은 수치다.

올해는 급격한 물가상승이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높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물가상승률은 5.2%로 지난 2019년(0.5%)의 10배에 달했다.

얼어붙은 취업시장도 한몫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60대(11.3%), 30대(9.5%), 50대(8.7%), 40대(7.9%) 등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속도가 대졸자 증가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난 4년간(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 수는 223만4000여명인데 신규 고학력 일자리 수는 126만4000여개로 대졸자 규모의 약 57% 수준에 그쳤다.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 역시 불안정해진 상태다. 지난 4년간(2017~2021년) 청년층의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이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20년 32.5%에서 29.2%로 줄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경련은 "주거 마련을 위한 전세대출, 과도한 '빚투'로 청년층의 채무 부담이 큰 상황"이라며 "연말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청년층의 재무 건전성은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