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청년들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청년 취업난과 물가 급등 때문이다.
얼어붙은 취업시장도 한몫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60대(11.3%), 30대(9.5%), 50대(8.7%), 40대(7.9%) 등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속도가 대졸자 증가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지난 4년간(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 수는 223만4000여명인데 신규 고학력 일자리 수는 126만4000여개로 대졸자 규모의 약 57% 수준에 그쳤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20년 32.5%에서 29.2%로 줄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경련은 "주거 마련을 위한 전세대출, 과도한 '빚투'로 청년층의 채무 부담이 큰 상황"이라며 "연말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청년층의 재무 건전성은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