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불안장애를 비롯한 여러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VR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사회불안장애환자를 대상으로 VR치료를 시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심박수와 전기피부반응을 측정했으며, 3가지의 머신러닝을 통해 다양한 불안양상과 VR멀미를 평가하고 예측도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사회불안장애환자의 VR치료시 특정 불안증상(내면화된 수치심 및 반추 사고)과 VR멀미의 악화를 예측할 수 있었고, 이는 향후 VR치료 제공 시, 실시간 증상 변화에 따른 반응형 솔루션을 구성하고 개인맞춤형 VR치료를 제공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 STEAM 연구-과학기술인문융합연구사업 '정신의학-예술 융합연구를 통한 불안증상 조절 디지털치료 콘텐츠 개발 및 실증' 과제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MIR Serious Games'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