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정은 선수의 입상 가능성을 따지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가 필요하고 이를 잘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선수의 기량 파악은 당연한 부분이고 탑재한 모터의 성능 파악도 선수 기량 못지않게 중요하다. 여기에 선수가 어느 코스에서 출전 하느냐도 상당히 중요한 요소다. 선수마다 선호하는 코스가 있고 코스별 입상률도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전 스타트 제도가 사라지게 된 후반기부터는 스타트감을 맞출 수 있는 기회가 지정연습 밖에 없기 때문에 선수들이 부쩍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그만큼 지정연습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경정은 실전을 치루기까지 생갭다 많은 연습을 하게 된다. 화요일 입소 후 모터와 보트를 배정받고 특별한 기상 이변이 없는 한 1차와 2차로 나눠서 연습을 하게 되는데 현재 시스템은 모든 선수들이 1코스부터 6코스까지 골고루 위치를 바꿔가며 연습하게 되고 여기에 온라인 경주를 대비해 직선력 체크까지 하게 된다.
대체로 선수들의 연습 스타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연습을 실전 못지않게 스타트부터 1턴 전개까지 적극성을 발휘하는 선수가 있는 반면에 무리하지 않고 스타트만 체크 한다거나 아니면 모터 상태만 체크하는데 그치는 선수들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수들은 의욕적인 모습으로 지정연습에 임하는데 심상철, 조성인, 김응선, 류석현, 한성근 같은 강자들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선수들은 컨디션을 파악하기가 쉬운 선수들로 분류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화요일 입소 후의 지정연습은 예상지에 잘 분석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참고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경기 당일의 오전 지정연습 같은 경우에는 미사리 본장을 찾지 않는다면 볼 수 없기 때문에 조금은 번거롭더라도 직접 살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한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