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순천향대 서울병원 '1차 수혈적정성 평가' 1등급 획득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7-01 07:41 | 최종수정 2022-07-01 07:41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병원장 이정재)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서 발표한 '1차 수혈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

심평원이 시행하는 여러 질환별 적정성 평가 중 수혈 분야는 올해 최초로 시행됐으며 전국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만 18세 이상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됐다.

평가는 ▲수혈 체크리스트 보유 유무 ▲비예기항체선별검사(Irregular Antibody) 실시율 ▲수혈 전 혈액검사에 따른 수혈률 ▲수술 환자 수혈률 ▲수혈관리 수행률 ▲수술 전 빈혈 교정률 ▲한 단위(1 Unit) 수혈률 ▲수혈량 지표 등, 총 8개 지표(평가 지표 4개, 모니터링 지표 4개)를 종합해 점수를 집계했다. 순천향대 서울병원은 이번 평가에서 종합점수 100점 만점을 받았다.

순천향대서울병원은 2000년 무수혈센터를 개소해 20년 이상의 무수혈 및 최소수혈 등 환자의혈액관리에 대한 노하우를 갖고 있다. 또한 매년 심포지엄을 열고 여러 병원과 무수혈과 최소수혈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2016년부터 병원에서 개발한 혈액관리프로그램(PBM)을 도입해 의료진이 혈액을 처방할 때 정말 필요한 수혈인지 사유를 적도록 하고, 적절 수혈처방 체크리스트와 환자 혈액 검사 결과가 함께 보이도록 프로세스를 마련했다.

대한환자혈액관리학회의 전신인 대한환자혈액관리연구회의 회장을 지낸 이정재 산부인과 교수팀은 동반질환이 없는 중증빈혈의 여성환자도 무수혈로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2015년 SCI 저널에 발표한 바 있다.

무수혈 및 환자혈액센터장을 맡고 있는 박선영 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세계적으로 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부족해지면서 환자혈액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고 이미 PBM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적용하는 것이 글로벌 의료의 추세"라며 "환자의 감염을 최소화하고 수술 회복을 앞당길 수 있는 무수혈, 최소수혈을 오랫동안 실천해온 결과가 이번 적정성 평가에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더 많은 의료진과 다양한 진료과에서 이 시대적 흐름에 편승할 수 있도록 수혈분야에 있어서 의료기관을 견인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자가수혈장비 '셀세이버'를 확인하는 모습.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