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지난달 공공요금 9.6% ↑…물가 상승률 6%대 가나

이미선 기자

기사입력 2022-06-19 11:21 | 최종수정 2022-06-19 11:32


최근 생필품과 외식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는 가운데 전기·수도·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도 물가 급등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 요구를 수용하면 이미 5%대 중반을 기록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6%를 넘어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보다 9.6% 올랐다. 2010년 1월 집계 시작 이후 최고치다.

전기료와 도시가스는 각각 11% 상승했다. 상수도료는 3.5%, 지역 난방비는 2.4% 올랐다.

5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4% 올랐는데, 이중 전기·가스·수도의 기여도는 0.32%포인트(p)였다.

전월 대비 상승률 0.7%에 대한 기여도는 0.09%p로 더 높았다. 4월 대비 물가 상승분 중 10분의 1 이상이 전기·가스·수도 요금 몫이었다는 의미다.

공공요금 인상은 제조업·서비스업의 생산·운영 비용 증가를 초래해 다른 품목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시가스 요금은 지난 4월과 5월 각각 기준원료비, 가스요금 정산단가 조정에 따라 인상된 데 이어 7월과 10월에도 오를 예정이다. 지난해 연료비 인상 등에 따른 단계적 인상안을 확정한 데 따른 것이다.


전기요금도 지난 4월 기준연료비와 기후환경요금이 인상됐다. 10월 기준연료비가 추가로 오를 예정이다. 한전이 정부에 제출한 3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안이 수용될 경우 내달에도 전기요금이 오르게 된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