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외식 시 '청결', 코로나19 장기화로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가정간편식 시장도 성장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2-02-13 09:30 | 최종수정 2022-02-13 09:36


국내 소비자들이 외식을 하기 위해 식당을 고를 경우 음식의 맛 못지 않게 청결과 위생을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이전인 2년 전에는 맛의 중요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던 점을 고려해 볼 때, '안전한 외식'에 대한 수요가 매우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 외식소비 행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aT는 지난해 9월 6∼17일과 11월 1∼8일 전국의 만 20∼69세 성인 중 최근 1개월 이내에 외식을 10회 이상 한 소비자 1341명을 대상으로 외식소비 행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팀은 참여자들에게 '맛집을 판단할 때 고려하는 요인' 10여개를 제시하고 각각의 중요도를 5점 척도(전혀 중요하지 않음∼매우 중요함)로 평가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음식 맛과 품질'의 중요도 비율(조금 중요함+매우 중요함)이 94.3%(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어 청결과 위생(92.1%), 가성비(86.0%), 서비스(81.1%), 주위의 평판(80.5%) 등이 각각 뒤를 이었다. 식당의 청결 상태를 음식 맛 만큼이나 중요하게 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에 시행했던 동일한 조사 결과와는 상당히 대조돼 눈길을 끈다.

2019년 당시 음식점을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복수응답)을 살펴보면 음식의 맛(71.6%), 가격(46.2%), 위치 접근성(38.4%), 식당 청결도(22.7%) 등의 순으로 높게 나왔다.


2년 전과 응답 방식이 다른 만큼, 두 조사 결과를 단순하게 비교할 수는 없겠으나 2년 사이 식당 청결도의 중요성은 확연하게 커진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조사팀은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이후 안전한 외식에 대한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혼밥'(혼자 외식)용 식당을 고를 때도 이 같은 경향이 드러났다. 혼밥을 위한 음식점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도 '청결도'의 중요도 비율(91.1%)이 음식 맛(90.8%)보다 약간 높았다.

조사팀은 이번 설문을 통해 한국인의 배달음식 소비행태도 함께 파악했다.

배달 음식점이나 음식을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리뷰(리뷰 개수나 평점)가 23.7%를 기록해 가장 비중이 높았다. 다음으로 음식 가격(19.9%), 배달비(14.9%), 소요 시간(13.3%), 메뉴 다양성(11.4%) 등의 순이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배달음식을 고를 때 가격이나 배달 시간보다 리뷰 내용을 더 고려한다는 얘기다.

현재 부과되고 있는 배달비에 관한 의견으로는 '비싸다'는 응답률이 85.6%로 '적절하다'(13.9%)나 '싸다'(0.4%)보다 월등히 높았다. 적정 배달료를 묻는 질문에는 2000원을 택한 비율이 68.6%로 가장 높았다.

한편 코로나19 유행으로 청결도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이 외식 대신 집 안에서 끼니를 해결하면서 가정간편식(HMR) 소비가 확대됐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충북대 농업경제학과 김선웅 교수팀은 'COVID-19 전후 소비자의 간편식 구입 빈도 결정 요인 비교' 논문에서 가정간편식을 주 1회 이상 구매하는 가구의 비율은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8년 16.7%에서 2020년 22.5%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장기화가 간편식 시장이 기존 외식 시장을 흡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