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치밀유방, 유방암 수술 후 반대 쪽 재발 위험 올라가"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1-07 10:26 | 최종수정 2022-01-07 10:26


치밀유방을 가진 유방암 수술 환자의 경우 같은 측의 재발은 증가하지 않으나, 반대 측의 재발 위험이 올라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젊은 환자의 경우 유방의 높은 치밀도와 반대측의 유방암 위험의 연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치밀유방은 유방 내 지방조직에 비해 유선조직의 양이 많은 상태를 말한다. 유방의 치밀도가 높을수록 유방암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치밀유방이 유방암 수술 후에 같은 측 혹은 반대 측 유방암의 재발 위험도를 높이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있었다. 특히 유방암 수술 후 유방 치밀도와 유방암 재발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서울대병원 유방내분비외과 문형곤 교수팀(천종호 전임의)은 2000~2018년 유방 보존술을 받은 유방암 여성 환자 9011명을 대상으로 유방촬영술 상에서 유방 밀도가 높은 군 6440명(71.5%)과 낮은 군 2571명(28.5%)으로 나눠 유방 내 재발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한 결과를 7일 밝혔다.

연구 결과 같은 측 유방암 재발의 누적 발생률은 10년 동안 2.1%였다. 이는 3.9~11.9% 정도로 보고된 외국 주요기관의 임상성적과 비교하면 뛰어난 치료성적이다.

치밀유방에서 같은 측 유방암 재발의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이는 유방암 재발의 위험도가 높은 젊은 여성의 치밀도가 높아서 보이는 결과였으며, 나이를 보정하면 치밀유방과 같은 측 유방암의 재발률은 연관성이 없었다.

반면에 반대측 유방암 재발의 5년 누적 발생률은 1.4%였다. 치밀유방을 가진 환자가 밀도가 낮은 환자에 비해 반대측 재발이 더 많이 발생했다.


특히 50세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유방의 치밀도가 반대측 유방암 발생과 무관했던 반면, 50세 미만의 환자군에서는 치밀유방일수록 반대측 유방암 발생 위험성이 1.96배 더 높았다.

지금껏 유방암 수술 후 유방 치밀도와 예후에 관해 실시된 연구 중 이번 연구의 규모가 가장 크고, 약 75개월의 긴 추적관찰 후의 분석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전에도 서양에서 이와 관련한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환자의 유방 치밀도가 낮았고 연구 결과도 일관성이 없었다.

문형곤 교수는 "유방암 수술 후 치밀 유방이라고 해서 같은 측 유방암 재발을 걱정하고 더 빈번한 검사를 통한 추적관찰을 할 필요는 없다"면서 "다만 젊은 여성이 치밀 유방인 경우, 반대측 유방암 발생이 높은 만큼 수술 후 반대측 유방에 대해서도 정기적 검사를 통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외과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저명한 SCI 학술지 '자마 서저리(JAMA Surgery, IF=14.766)'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2019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여성암은 유방암이다. 2019년 기준 여성 유방암 환자는 2만4820명이다. 유방암 발생률은 전체 여성암의 20.6%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 추세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문형곤 교수(왼쪽)와 천종호 전임의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