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생명 위협하는 벌독 알레르기…여름철 '벌 쏘임' 주의보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1-07-05 09:57 | 최종수정 2021-07-05 09:57


최근 도심에서 벌을 키우는 이른바 '도시 양봉'이 늘어나면서 벌 쏘임 사고와 같은 문제점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요즘처럼 기온이 상승하면서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는 여름철은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는 시기라 같한 주의가 필요하다. 벌에 쏘이면 해당 부위만 붓고 아픈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에는 중증 반응으로 이어져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으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아나필락시스 반응(Anaphylaxis reactions)'이 벌독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이 요구된다.

개인 편차 큰 벌 쏘임 증상…'아나필락시스 반응' 발생 시 쇼크사·정신적 후유증 위험

벌에 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개인마다 그 편차가 매우 크다. 누군가는 벌에 쏘인 부위에만 통증을 느끼는 반면, 몸 전체에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위경련, 자궁수축, 설사 증상을 보이는 사람도 있다. 또한 인두·후두나 기도 위쪽이 심하게 부으면서 쇼크가 일어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사람마다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와 알레르기 반응 때문이다. 다시 말해 벌독에 민감한 사람 즉, 벌독 알레르기 환자가 벌에 쏘인다면 더욱 위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몸에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을 인식하는 비만세포가 있는데, 이 비만세포는 항원을 인식하면 항원과 싸울 수 있는 세포들을 불러들이는 히스타민(Histamine)을 분비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 시켜 혈류량을 늘리고 상처 부위에 부종과 통증,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그런데 벌독 알레르기 환자가 벌에 쏘이면 과다한 히스타민 분비로 혈액이 지나치게 빠져나와 혈압이 떨어지고 몸이 붓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 부작용이 심해지고 적절한 응급조치가 없을 경우 쇼크사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증 전신 알레르기 반응이 바로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그 자체로도 위험하지만 치료 후에도 정식적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한다. 지난해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한 환자들이 다양한 정신질환을 동반한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된 것. 해당 연구에 따르면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한 성인 환자 203명 중 41.4%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나타났고, 이중 56%는 그 정도가 심각했다. 또한 47명(23.2%)은 불안장애를, 57명(28.1%)은 우울증을 호소하여 신체적 후유증이 없더라도 정신적 후유증을 야기할 수 있음이 확인 됐다.

아나필락시스 의심 시 '트립타제 검사' 권장… 간단한 채혈로 벌독 알레르기 진단 가능해

만약 벌에 쏘이고 중증 이상 반응이 나타났을 경우 비만세포의 활성화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트립타제(Tryptase) 검사'를 통해 아나필락시스를 진단할 수 있다. 트립타제는 비만세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단백질로 그 수치를 통해 비만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면 아나필락시스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증상이 일어난 시점의 트립타제 수치와 평상시 기본 수치를 각각 측정하여 트립타제의 계산식을 통해 아나필락시스인지 확인 가능하다.

자신이 벌독 알레르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려면 가까운 내과나 가정의학과를 방문해 간단한 혈액 검사를 받아 볼 수 있는데, 특히 소방관이나 양봉업자 등 벌에 자주 노출되는 환경에 근무하는 경우라면 더욱 권장된다.


관련 검사로 '이뮤노캡 벌독 알레르기 검사'가 대표적이다. 벌의 종류는 전세계적으로 12만 종에 달하지만 벌독 알레르기 환자들은 대부분 꿀벌, 말벌, 땅벌 등 특정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데, '벌독 항원 검사'를 실시하면 벌독 알레르기 유무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벌독에 알레르기가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벌독 알레르기 환자의 절반 가량은 꿀벌독과 말벌독에 '동시 양성(Double positivity)'을 보인다. 이는 어떤 항원에 의해 만들어진 항체가 그 항원과 성질이 비슷한 물질에 대해 반응하는 '교차 반응(Cross-reactivity)'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 경우 추가적인 '벌독 성분항원 검사'를 통해 동시 양성과 교차 반응을 구분하여 정확한 원인 벌독을 확인해야 한다.

GC녹십자의료재단이 전국의 수십 개 의료기관에 '트립타제 검사' 및 '이노뮤캡 벌독 알레르기 검사'를 제공하고 있다. 이지원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벌 쏘임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환경에 거주 또는 근무하시는 분들은 만일의 상황을 대비해 사전에 벌독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장한다"며 "벌독 알레르기 진단을 받았다면 벌에 쏘이는 상황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야외에서 벌을 자극하는 향수·화장품·스프레이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한 "벌에 쏘인 후 중증 반응을 경험했을 경우 트립타제 검사를 통해 아나필락시스인지 확인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사진제공=GC녹십자의료재단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