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고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홈술'로 인한 가계 주류 소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알코올 섭취량(평균 107.1g)의 2배 이상이다.
연령·집단별 고위험 음주율은 40~49세 남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스토스테론은 성적 욕구를 일으키고, 근육량 증가, 자신감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남성호르몬으로,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게 되면 가장 대표적인 증상으로 발기부전, 성욕 감퇴 등 성기능 저하가 나타나며, 그 외에도 피로, 우울, 수면장애, 내장지방 증가, 골밀도 감소, 지적 활동과 인지기능 저하 등 여러 증상이 동반되며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서울대병원 비뇨기과 김수웅 교수는 "남성의 경우 30대 후반부터 테스토스테론이 매년 1%씩 감소하는 것을 고려했을 때, 40대 이상 남성의 지나친 음주는 남성갱년기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남성갱년기를 증상만으로 진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우선 자가진단 설문지를 이용해 남성갱년기가 의심된다면 전문의의 진찰을 통해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확인해 볼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남성갱년기의 치료 방법은 주사제, 피부에 붙이는 패치제, 바르는 겔제제, 먹는 약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약제별로 장단점이 있으나, 테스토스테론 주사제는 가장 오랫동안 임상에서 이용되어 온 치료 방법으로 매일 투여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김수웅 교수는 "성적, 육체적, 정신적 부분에서 남성의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남성갱년기는 남성호르몬 보충 요법을 통해 충분히 개선이 가능하다"며,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치료제를 선택하면 최대의 효과와 최소한의 이상반응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지속형 주사제는 1년에 4~5회 가량 맞으면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