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입장문을 통해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며, 인수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주주가치 제고 및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의 인수가 갖는 의미와 책임을 무겁게 인식하고, 국내 항공산업 구조개편이 당사자로서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 일자리 안정을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KCGI가 책임 있는 주주로서 국내 항공산업이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데 뜻을 모아달라는 내용도 담았다.
산업은행의 입장도 비슷했다. 산은은 "미증유의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재도약을 대비한 항공산업 구조 개편 방안 추진에 큰 탄력을 받게 됐다"며 "통합 국적 항공사가 국민의 눈높이에 부응하는 모습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건전·윤리 경영 감시자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KCGI 측을 향해 "그간 주장해 온 소모적인 논쟁을 뒤로 하고 경영권 분쟁 프레임에서 벗어나 국가기간산업인 항공산업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 그리고 항공업 종사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힘을 보탤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KCGI는 이미 한진칼에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청구하며 '반격'을 준비 중이다. KCGI가 신규 이사 선임과 정관 변경을 임시 주총 안건으로 한정했기 때문에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주총에서 무산될 가능성은 적지만, KCGI측 이사가 선임된다면 이사회에서 인수 문제가 재논의될 수 있다.
노조와의 갈등 해결도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전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대한항공-아시아나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는 인수 발표 직후부터 "노동자를 배제한 합병"이라며 인수를 반대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유동성 위기에 대비하고, 아시아나항공 인수 이후 충격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금 확보도 시급하다.
대한항공은 자산 매각을 통한 자금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30일 칸서스·미래에셋대우를 왕산레저개발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고, 자회사인 항공종합서비스가 운영 중인 공항버스 사업도 사모펀드(PEF) 운용사 케이스톤파트너스에 매각을 추진 중이다.
M&A업계 관계자는 "인수합병 최대 위기로 꼽혔던 한진칼의 신주발행 금지 가처분 신청이 기각된 이상 대한항공이 합병을 위해 꾸렸던 실사단이 빠른 시일 내 투입될 것으로 알고 있다"며 "대한항공은 합병이 기정사실화 된 만큼 외적인 요소보다 노조 갈등과 재무구조 정상화에 초점을 맞춘 경영전략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