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제조기업 65% "바이든 시대에도 사업환경 변화 없을 것"

이미선 기자

기사입력 2020-11-22 13:34


국내 제조기업 세 곳 가운데 두 곳은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에도 사업환경 등이 트럼프 정부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0곳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 출범 후 수출 등 사업환경 변화 전망에 대해 응답기업 65.3%가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32.0%는 '개선될 것'이라고 답했고,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은 2.7%였다.

대한상의는 조사 결과에 대해 "바이든 당선 이후 글로벌 통상환경 안정화와 트럼프식 일방주의 후퇴 등을 기대하면서도, 미국산 우대 등 자국 우선주의 지속에 대한 우려를 드러낸 것"이라고 풀이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에 대한 기대가 상이했다.

미국의 친환경 투자와 경기부양 수혜가 기대되는 2차전지나 가전,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개선 기대가 비교적 높았다. 이에 비해 미국산 사용이 강화되고 중국과 경쟁이 치열한 기계와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업종에선 기대가 낮았다.

사업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이유로 응답자들은 '글로벌 무역 규범 가동'(42.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친환경 등 새로운 사업기회 부상'(27.1%), '정책의 예측가능성 제고'(20.8%),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9.4%) 등의 순으로 높았다.

미·중 무역분쟁에 대해선 과반의 기업(61%)이 '트럼프 정부 때보다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비슷한 수준일 것이란 응답은 37%, 심화할 것이란 예상이 1.7% 등이었다.

대한상의는 이번 조사에서 바이든 당선인의 대선 공약들 중 국내 기업들에 기회요인과 위기요인을 5점 척도로 물었다.


결과에 따르면 '다자무역체제 회복'(4.4점), '재정지출 확대'(3.7점), '2조 달러의 친환경투자'(3.4점) 등이 기회요인으로 평가됐다. 반면 '중국 압박 지속'(2.3점), '최저임금 인상'(2.4점), '환경규제 강화'(2.5점) 등은 위기요인으로 인식됐다.

또한 기업들은 바이든 정부에서 대미수출 확대를 위한 중점 정책과제를 묻는 설문에 '환율안정'(41.3%), '미중갈등·다자체제 복귀 등 통상이슈에 정밀대응'(37.3%), '인프라투자 참여기회 확보'(9.4%) 등을 꼽았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 친환경 트렌드 등 성장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환율변동, 탄소절감 등 위기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협력 채널 구축과 세부 전략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