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코로나19 여파로 올해만 80개 주유소 문 닫아…장마까지 겹치며 경유 수요 줄어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20-09-14 13:06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6개월간 전국 70개 주유소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이달 9일 기준 전국의 주유소는 1만1384개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지난 3월 1일의 1만1454개보다 70개가 줄었다.

올해 1~2월 문을 닫은 주유소가 10개인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 이후 영업을 중단한 주유소가 한 달에 배 이상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통틀어 문 닫은 주유소 숫자는 80개였다.

영업을 접는 주유소가 늘어난 것은 장사가 안돼서다.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휘발유·경유 등 주유소 판매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56% 줄었다. 휘발유(-0.38%), 경유(-3.25%) 등이다.

특히 올여름 유례없는 긴 장마로 관광객이 줄면서 관광버스 운행 등이 감소해 경유 수요는 더 많이 줄었다. 7월 휘발유(차량판매용) 판매량은 1년 전보다 1.89% 늘었지만, 경유는 4.57% 감소했다.

한국주유소협회 관계자는 "도심은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지만, 지방 국도변 주유소들의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고 말했다.

이들 주유소는 대부분 폐업 대신 휴업을 택한다.

주유소는 큰 기름 탱크를 갖춰야 하므로 주유소를 접을 때는 토양 오염을 정화해야 한다. 여기에 시설 철거비까지 합치면 주유소 한 곳당 폐업 비용이 1억원에서 많게는 2억원가량 된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장사도 안 되는데, 막대한 폐업 비용 때문에 마음대로 접을 수도 없는 실정이다. 지방 도로변에 영업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되는 '흉물' 주유소가 늘어나는 원인이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