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태양광 설치량 증가…중국산에 밀려 국산 모듈 점유율 하락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0-09-10 13:14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국내 태양광 설치량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과 맞물려 태양광 설치량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태양광 모듈의 국산 점유율이 해외 기업에 밀려 하락하고 있는 만큼 친화경·효율화 등 관련 기술경쟁력 확대 등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은 10일 태양광업계 간담회를 열어 국내 태양광 산업 현황을 공유하고, 경쟁력 강화 등을 논의했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태양광 설치량이 반기 사상 처음으로 2GW(기가와트)를 돌파했다. 지난해 상반기 1.3GW와 비교하면 0.7GW가 늘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올해 연간 태양광 설치량은 역대 최대가 될 것이란 게 한국에너지공단의 전망이다.

태양광 설치가 확대됨에 따라 업계 실적도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주요 태양광 업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 88.4%가 증가한 3조5919억원, 1726억원으로 집계됐다.

주목할 점은 태양광 설치량 증가에도 불구, 모듈 국산 점유율은 낮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태양광 모듈 국산 점유율은 67.4%로, 전년 동기 대비 12.4%가 하락했다. 하락 배경으로는 중국업체들이 거대 내수 시장을 토대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중국기업들이 한국에 공격적으로 진출한 것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 정부가 태양광 보조금을 삭감하고, 코로나19 여파로 내수가 감소하자 중국업체들이 한국을 포함한 수출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게 한국에너지 공단의 분석이다.

실제 중국 내 태양광 설치 규모는 2017년 53GW에서 지난해 30GW로 줄었다. 해당 기간 한국이 중국에서 들여온 모듈 수입액은 2억4000만 달러에서 3억7000만달로 급증했고, 올해는 7월까지 2억달러를 기록했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 가격이 하락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모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도 국산 모듈 시장점유율 하락을 거들었다.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전력을 생산하는 만큼 SMP(계통한계가격)를 받고, 보조금 성격인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를 정산받아 이익을 내는데, REC 가격 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하자 값이 싼 중국산 모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해외기업들이 대규모 증설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대하는 등 우리 산업 경쟁력을 지속해서 위협하는 만큼 최저효율제, 탄소인증제 등을 통해 국내 시장을 고효율·친환경 시장으로 전환이 필요하다"며 "세계 최고효율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하는 등 기술경쟁력 향상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