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헬스가이드-통풍] 출산보다 더 큰 고통…맥주가 원인? '반만 맞는 말'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0-08-27 09:59


일을 마친 후 마시는 시원한 맥주 한잔과 치킨이 절로 생각나는 시기다.

그런데 맥주를 많이 마시면 걸린다고 알려진 질병이 있다. 바로 통풍(痛風)이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보면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이 증가하면서 발생하는데, 맥주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술이 요산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홍연식 교수의 도움을 받아 통풍의 원인 및 치료·예방법 등에 대해 정리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무더위에 치맥을 즐기는 이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통풍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통풍 발병의 원인으로는 비만, 고혈압, 음주, 폐경 등이 대표적으로 꼽히며,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등으로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홍연식 교수(오른쪽)가 환자에게 질환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통풍 환자, 5년간 49% 증가…여름철 환자 늘어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

통풍의 극심한 통증을 표현한 말이다. 통풍의 통증은 발작으로 불릴 정도이며, 여성의 출산과 비교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통증 정도를 0~10범위에서 평가하는 시각통증척도를 보면 출산을 '8', 통풍을 '9'로 규정한다.

이런 통풍을 겪는 환자의 수가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2년 26만5065명에서 2017년 39만5154명으로 5년간 49% 증가했다. 특히 통풍 환자는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여름철에 증가하는데, 상대적으로 환자가 적은 겨울철에 비해 30~40% 정도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전체 환자의 93%는 남성으로, 여성보다 훨씬 많았다. 남성에게서 통풍이 주로 발생하는 이유는 콩팥에서 요산 제거 능력이 남자는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반면 여자의 경우 폐경 전까지 여성호르몬에 의해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홍연식 교수는 "여름에는 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탈수로 혈중 요산이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다"며 "이 상태에서 퓨린이 많은 맥주와 고기를 다량 섭취하면 통풍 발작이 생기기 쉽다"고 설명했다.

증상은 주로 엄지발가락이나 발등, 발목, 무릎 등에 갑작스러운 염증이 발생해 심하게 붓고 빨갛게 변하며 열감이 있고 손도 못 댈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

첫 증상 후 통증이 있을 때만 치료하고 꾸준히 치료하지 않으면 통풍 결절이 울퉁불퉁 튀어나와 신발을 제대로 신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 해가 갈수록 통증이 발생하는 횟수가 증가하고 관절 손상과 신장결석 등 만성 콩팥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통풍은 비만한 남성, 고혈압이나 신장병 환자, 가족력이 있는 사람, 술을 많이 먹는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여성은 폐경이 되고 10~20년이 지나면 통풍이 생길 수 있다.

홍연식 교수는 "통풍은 비만이면서 술을 많이 마시는 중년 남성에게서 많이 생기는데, 이는 비만 자체가 체내 요산 생성을 증가시키고 신장 기능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떨어져 요산 배설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최근에는 스트레스와 잦은 회식으로 과식을 하고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적은 젊은 남성에게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음주량 많을수록 위험성 높아져…과음·과식 피하고 체중 관리해야

맥주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술은 요산을 증가시킨다. 음주량이 많을수록 통풍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만큼 과도한 음주는 삼가는 것이 좋다.

약물 때문에 통풍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뇨제 성분 중 싸이아자이드나 저용량의 아스피린, 결핼약도 요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풍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은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교정이다.

통풍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과음이나 과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반드시 피해야 하는 음식은 내장(염통, 간, 콩팥 등), 과당이 많은 콘 시럽(corn syrup)이 함유된 음료수나 음식, 술이다. 육류, 해산물(등푸른 생선, 조개), 천연과일주스, 설탕, 단 음료와 디저트, 소금 등도 주의한다. 반면 저지방이나 무지방 유제품과 채소, 적당한 운동은 통풍 예방에 도움이 된다.

홍연식 교수는 "땀을 적당히 흘릴 수 있는 유산소운동 가운데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가벼운 등산, 수영 등이 통풍 예방에 좋다"며 "하지만 너무 과격한 운동은 요산 생산을 증가시키고 몸속에 젖산이 축적돼 요산 배설이 감소하면서 통풍 발작이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