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플란트는 제3의 치아, 인공치아라고 불릴 만큼 기존의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방법이다. 임플란트 치료법이 최초 도입되었을 때와 비교했을 때 그 수술법은 비약적으로 발전을 했고, 치료비용에 대한 부담 또한 최근 많이 낮아지게 되었다. 만65세 노인의 경우 임플란트 시술 건강보험적용이 가능해져 자기부담금 30%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해진 것이다.
임플란트를 하는 것이 맞는지, 자연치아를 최대한 살리면서 치료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늘 이어진다. 하지만 이는 그 어떠한 것에도 정답이 없다. 환자 하나 하나의 치아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볼 수 있다.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일상생활을 할 때 불편함을 느끼니 자연치아를 발치하고 무조건적으로 임플란트를 심는 것, 이것은 올바른 치료 방향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반대로 가망이 없어 살리기 어려운 자연치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알맞은 방법은 아니다. 기존의 치주질환으로 잇몸뼈가 심하게 녹아내린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위한 뼈를 확보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충치로 깨져버린 치아 공간으로 인접치아 이동해와 역시 임플란트 식립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연치아는 발치를 하는 것이 낫다.
이러한 결정은 본인 스스로가 내릴 수 없다.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풍부한 임상 경험과 노하우를 지닌 치과에서 진단을 하고 치료 계획을 잡아야 하는 것이다.
치료 방향을 설정해 나가는 가운데, 많은 이들은 치료 비용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 치과 치료비용은 물론 부담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무조건 저렴한 임플란트를 선택해서는 안된다. 임플란트는 브랜드, 제품 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아직 부족한 업체를 선택해서 하게 되면 비용만 줄일 수 있을 뿐 이후 문제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도 열어 두어야 한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자연치아와 임플란트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나에게 적합한 치료방법인지 명확하게 분석하는 치과, 의료진을 선택하는 것이다. 임플란트 임상 노하우를 오랜 시간 동안 보유하고 있는지, 진단부터 식립까지 꼼꼼하게 진행하는 지를 파악해야 한다.
임플란트 시술을 만족스럽게 했다고 하더라도 방심해서는 안된다. 치아 발치의 대표적인 원인은 바로 잇몸질환으로, 치석이 쌓이면서 풍치가 생겨 잇몸과 치아 사이가 벌어지며 치아가 흔들리거나 썩어 발치를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자연치아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치아에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하게 관리를 해야 한다.
치과 치료는 치아가 좋지 않아 해서 발치 후 임플란트를 한다거나 무조건 자연치아를 살려야 한다는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비롯돼서는 안된다. 환자의 치아 상태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분석한 다음에 치료 계획을 잡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건강한 치아를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조선 medi@sportschsoun.com>
글 - 홍대 연세마이(MY)바른이치과의원 김민정 원장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