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공공기관 1분기 재택근무 3만1000명, 작년 전체의 22배…공공의료기관은 '0명'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0-06-04 12:50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올해 1분기 재택근무를 실시한 공공기관(부속기관 포함)은 255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재택근무 인원이 1명이라도 있는 공공기관이 27곳인 점을 감안하면 약 9.4배 늘어난 것이다.

또한 올 1분기 공공기관의 재택근무 인원은 3만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한 해 전체 재택근무 인원(1408명)의 22배에 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인 대학병원 등 공공 의료기관의 재택근무 인원은 한 명도 없었다.

4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정부 각 부처 산하 공공기관 363곳의 재택근무 인원은 3만1148명이었다.

올해 1분기 공공기관 임직원(정원 기준)이 41만8203명인 것을 고려하면 13명당 1명꼴이다. 지난해에는 임직원 대비 재택근무 인원 비율을 보면 292명당 1명이었다.

공공기관 363곳 중 재택근무 인원이 1명이라도 있는 곳은 70.2%(255곳)로 집계됐다.

이같은 재택근무 인력이 급증한 것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1분기 재택근무 인원이 가장 많은 공공기관은 한국산업은행으로 2385명이었다. 이어 한국가스공사(2061명), 한국전력공사(1823명), 한국도로공사(1376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1108명), 한국농어촌공사(1011명) 등 순이었다.


한국산업은행과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은 지난해 재택근무자가 한명도 없었던 곳이다.

공공기관 중 임직원이 총 3만2000여명으로 가장 많은 한국철도공사는 재택근무 인원이 72명에 그쳤고 1만6000명이 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명뿐이다.

재택근무 인원이 적은 공공기관 중에는 직원이 출퇴근 시간을 자율 조정하는 '시차출퇴근형 근무'를 도입하는 등 탄력근무를 하는 곳도 있었다.

서울대병원 등 교육부 산하 대학병원 및 치과병원 15곳과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중앙의료원·국립암센터 2곳 등 17개 의료 공공기관 임직원은 1분기 4만8278명이지만, 이 가운데 재택근무자는 한명도 없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월부터 코로나19 확산 양상이 심각해지자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하며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민간 기업 등에 가능하면 재택근무나 온라인 근무를 할 것을 권장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