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엄지발가락이 휘어지는 '무지외반증'은 생갭다 흔한 질병이다.
문제는 단순히 휘어지는 것에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엄지발가락이 휘어지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그로 인해 다른 발허리뼈 부분에 체중이 많이 가해져 발바닥에 통증이 생긴다. 엄지발가락이 아닌 둘째와 셋째 발가락에 큰 힘이 가해지면서 발가락과 발목의 관절이 붓고 발바닥에도 굳은살이 생겨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걸음걸이가 이상해지면서 허리나 다른 부위의 통증이 이어질 수도 있다.
연세건우병원 박의현 병원장(족부전문의)도 "무지외반증을 단순히 엄지발가락이 휘어지는 콤플렉스 정도로 여겨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며 "엄지발가락은 보행 시 지면을 박차고 나가는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되는데 무지외반증 탓에 다른 발가락에 체중 부하가 전달되면서 심할 경우, 걸음걸이뿐 아니라 허리·무릎·골반 건강도 악화시킬 수 있기에 경과가 진행되기 전, 제때 치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서인지 병원을 찾지 않고 참거나 '발가락 교정기'로 대체하려는 사람들도 많다. 무지외반증용 발가락 교정기는 엄지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를 벌려주는 보조기구로 통상 무지외반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같은 광고에 고개를 젓는다.
박의현 병원장은 "교정기를 통한 무지외반증 치료는 결론적으로 불가능하다. AOFAS, IFFAS, FAI 등 국제족부학회 및 SCI저널 어디에도 교정기를 통한 완치사례 보고는 없다. 교과서적으로 교정기라 불리는 보조기구는 골유합이 완전치 않은 소아청소년기 및 당장 수술이 어려운 임산부, 약물복용 환자의 통증완화 및 변형지연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치료일 뿐 변형된 뼈를 본래대로 돌려주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당장 치료를 할 수 없어 임시방편으로 증상을 악화하는 것을 막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뿐 그 자체로 교정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박 병원장은 "무지외반증 변형은 고정형이 아닌 진행형이다. 교정기를 차도 변형은 진행되고 방치할 경우 더욱 빠르게 심화된다. 무지외반증은 뼈가 심하게 돌출되는 것만 문제가 아니다. 발은 우리 몸 2% 남짓 작은 면적에 수 많은 신경, 혈관, 인대 조직이 존재한다. 따라서 변형이 진행될 수 록 주변조직을 손상이 진행되어 심각한 합병증이 초래된다"며 "교정기를 착용하기보다는 병원에 내원에서 정확한 상태를 진단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게 합리적이다"라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