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콜센터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CJ그룹의 '고객 접점'을 담당하는 CJ텔레닉스가 '안전불감증 논란'으로 도마에 올랐다.
"정부 방역지침 위반" vs "사실과 달라"…노사 '팽팽'
서울 구로구 콜센터 집단감염 사태로 고용노동부의 콜센터 방역지침이 발표된 이후, 지난 3월 16일부터 25일까지 서울·부산·원주·목포·대전·대구 등의 콜센터 상담사 200여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는 CJ텔레닉스의 방역에 대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마스크 및 손소독제 지급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책상, 의자, 사무기기, 문 손잡이, 난간 등의 정기적인 소독'과 '비접촉식 체온계 비치 또는 열화상카메라 설치 등'의 질문도 80% 안팎의 긍정적 답변을 끌어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된 답변에서는 상담사들이 느끼는 위기감이 드러났다.
우선 회사가 '칸막이 혹은 가림막 설치'를 했는지 묻는 질문에서 그렇지 않다는 대답이 88.2%였다. '상담사 간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서도 81.3%의 상담사가 아니라고 답했다. 정부가 내놓은 콜센터 방역지침에 따르면 가림막의 권장 높이는 책상 면에서 90cm이고, 상담사 간 간격은 1m 이상이다.
뿐만 아니라 '비말 접촉이 우려되는 헤드셋·마이크 등에 대한 1일 1회 소독'은 84.8%, 공기 중 비말 전염을 막기 위한 '센터 내 주기적 환기'(2시간 마다 1회 권고)는 70%에 달하는 '부정적 답변'이 나왔다. 콜센터가 비말을 통한 집단감염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으로 분류되는 만큼, 이 역시 콜센터 근무자들의 우려가 크게 나타나는 지점이다.
앞서 지난달 13일에도 CJ텔레닉스 노조는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콜센터 상담원들의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 지침이 나온 이후에도 사측의 안이한 대응은 여전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CJ텔레닉스 사측은 실태조사 대상의 대표성에 문제가 있고,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는 입장이다.
CJ텔레닉스 관계자는 "현재 70% 이상의 상담원들이 지그재그로 앉아 근무 중이며, 높은 칸막이도 순차적으로 설치 중"이라면서, "지속적으로 근무 공간 확보를 해나가고 있으며 재택근무도 병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계속되는 실적 압박 논란…노사갈등 '불씨' 여전
노조의 두 차례 기자회견과 당국의 현장점검이 이어지면서, CJ텔레닉스 사측도 회사 블로그에 코로나19 관련 카드뉴스를 발행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이번 갈등의 배경이 된 '실적 압박'에 대해서는 양측의 간극이 여전하다.
앞서 발표된 긴급 실태조사 결과에서는, 연차·병가·조퇴·반차 등의 자유로운 사용에 대한 공지 여부에 대해 68%의 상담사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또한 휴가를 제때 사용하려면 영업·실적에 대한 압박인 개인목표·일일목표 등 실시간 업무관리가 줄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답변이 89%에 달했다. 점심시간 1시간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답변도 20%가 넘었다. 이 때문에 재택근무를 하더라도 목표량을 채우기 위해서는 오히려 시간 외 근무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 31일 노조가 발행한 소식지에도 "연차, 보건휴가, 심지어 점심 휴게시간마저 포기하게 만드는 해당 압박이 완화되지 않으면 '이상 증세 발생 시 1차 상사에게 즉시 보고 후 유급휴가 활용 진료 등'은 여전히 그림의 떡이다"라는 글이 실렸다. 한시적으로라도 업무 압박, 평가 연동을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을 재차 밝힌 것이다.
그러나 CJ텔레닉스는 영업 조직에서 목표 할당은 당연한 것이고, 휴가 사용 역시 '개인의 선택 문제'라는 입장이다. CJ텔레닉스 관계자는 "자유로운 휴가 사용이 보장되고 있으며, 실제 연차가 90% 이상 소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양측의 주장이 맞서고 있지만, 차이를 좁히기 위한 협상 테이블은 제대로 펼쳐지고 있지 않다.
지난 1월 출범한 노조의 교섭 제의에 대해 사측은 이를 거부하고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교섭 단위 분리'를 신청해 놓은 상태다. 회사 내에 보안 분야 등 근로조건이 다른 구성원들이 있기 때문에, 해당 노조에 대표성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에 대해 복수노조 형태도 아닌 사업장에서 이러한 행보는 대화를 차단시키는 '시간끌기 전략'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CJ텔레닉스에서는 콜센터와 보안사업 직원 비율 및 콜센터 직원의 하청 비율 등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관련 업계에서는 코로나19 비상 상황에서 CJ텔레닉스의 대처가 아쉽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에서 직접 운영하고 상대적으로 정규직 비율이 높은 회사에서 자사 구성원들에 대한 보호보다 실적에 급급한 모양새"라면서, "전국민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 중인데, CJ는 안전불감증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은 것 같다"고 꼬집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