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코로나19 여파로 생수판매 급등…1위 삼다수 주춤, 2위권 맹추격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0-03-16 12:36


코로나19 확산으로 생수 업체가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과 소비자들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며 생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생수업계 2위권 업체들은 수요물량 대응을 위한 발 빠른 생산량 늘리기에 나선 가운데, 시장 1위 업체인 제주삼다수는 주춤하고 있어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번 사태로 생수시장 판도에 변화가 생길지 소비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6일 생수 업계에 따르면 주요 생수 업체들의 출고량이 일제히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농심 백산수의 2월 출고량은 2만300톤으로 1월 1만5600톤보다 30% 증가했다.

롯데칠성음료 아이시스도 첫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1월 20일부터 3월 9일까지의 출고량이 전년 동일 기간 대비 16%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해태음료의 강원평창수 역시 2월 출고량이 전년동기보다 20% 증가했다.

업계는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는 추세를 보이자 소비자들이 외출을 삼가고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생수 소비량이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풀이했다. 외식을 줄이는 대신 '집밥' 문화가 늘었고, 감염병 예방을 위해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권장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사태 장기화를 우려한 소비자들이 집안에 생필품을 비축하는 '사재기'식 구매에 나선 것도 또 다른 소비량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생수시장 규모는 8259억원이다. 생수시장은 매년 10%가 넘는 시장 성장률을 보였기 때문에 올해 시장 규모가 최초로 1조원을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예상을 뛰어넘는 급성장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생수업계 1위인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주삼다수는 주요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코로나19 사태 전후 출고량 변동이 없었다. 업계에서는 제주삼다수가 지난 1월 초 17일간 총파업을 겪은 데 이어 2월 설비점검 차원에서 2주 가량 생산 중단에 나섰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제주삼다수의 시장점유율은 2000년대 후반 50%를 웃돌았으나 이후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에 따르면 2019년 삼다수 시장점유율은 39.8%로 40%선이 무너졌다.

제주삼다수 관계자는 "생수 업계 비수기인 겨울을 맞이해 설비 점검에 나선 것"이라며 "특정 이슈에 따라 판매량이 늘거나 줄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