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코로나19 확산과 관련, 기준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내리는 '깜짝 인하'를 단행하면서 한국은행도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은은 연준 결정이 있기 불과 5일 전인 지난달 2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동결했다.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 여부를 좀 더 살펴봐야 하고, 금리조정보다는 피해업종을 선별 지원하는 미시정책이 더 효과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주택시장·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이슈도 동결 요인의 하나였다.
그러나 연준이 사실상 금융위기 대응 수준에 준해 선제적 처방을 내놓으면서 한은이 4월 9일 금통위에서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한은은 4일 오전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어 연준의 금리 인하와 관련한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했다.
한편 미 연준이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대폭 인하하자 정부도 긴급 회의를 열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및 연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실물경제 영향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체제 아래 시장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비정상적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에 따라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금융·외환시장 분야에서도 관계기관과 기관별 해외사무소를 아우르는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해 합동 일일동향 점검반을 운영하고 필요하면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수시로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기재부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필요하면 한국도 과감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야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