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기업 간 의류 관리기 시장 점유를 위한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특허출원이 급증했다.
의류 관리기의 출원 급증은 3~4년 전부터 미세먼지의 사계절화가 이슈로 등장해, 집에서 미세먼지 없이 옷을 깨끗이 하려는 소비자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의 기술개발이 활발해진 것과 맞물린다.
최근 10년간(2010~2019년) 국내 특허출원을 출원인 유형별로 보면 내국인이 96.3%, 외국인이 3.7%였다. 같은 기간 미국 내 의류 관리기 분야 전체 특허출원의 71.8%는 국내 기업이었다.
인공지능으로 미세먼지와 사용자의 생활패턴 정보를 적용해 최적의 의류 관리코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전체의 8.2%에 불과했으나, 2018년부터는 출원이 급증했다.
또 의류 관리기에 실내 공기 청정 기능을 부가하는 기술의 출원량은 적지만(3.9%), 2017년부터 출원이 꾸준하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