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코로나19' 29·30번 확진자 감염경로 불분명…정부 "지역사회 확산에 선제적 대비"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0-02-17 13:46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0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는 "지역사회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부부사이인 29·30번째 확진자는 해외 여행력이 없고 기존 확진자와의 접촉력도 확인되지 않아,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은 17일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나라에서도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된 것인지 여부는 29·30번 환자의 역학조사 결과가 나오면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29·30번에 대한 판단 결과와 별개로 정부는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코로나19가 증상이 경미한 상태에서도 전파가 잘 이뤄지는 특징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국내 지역사회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내고 이를 지연시키는 한편, 지역사회로 전파되는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유행의 규모와 여파를 줄이는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현시점에서의 적절한 방역관리대책"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보건당국은 ▲진단검사 확대를 통한 환자 조기발견 및 지역사회·의료기관 감시체계 구축 ▲의료기관의 감염 예방과 취약시설(요양시설·병원 등) 보호 조치 더욱 강화 등의 내용을 지방자치단체에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앞서 보건당국은 7일부터 해외여행력이 없더라도 의사의 소견에 따라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확대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원인불명 폐렴으로 입원 중인 환자에게도 필요하다면 해외여행력과 무관하게 진단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코로나19 감시체계 확대를 위해 병원 기반 중증호흡기 감염병 감시체계(SARI, 현재 13개 병원) 및 인플루엔자 실험실 표본감시체계(현재 52개 의원)에 코로나19 검사를 추가하고, 이 감시체계에 참여하는 의료기관도 확대해 지역사회 감염 대비 감시망을 강화할 계획이다.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취약시설에 대해서는 외부 방문이나 면회를 제한하고, 종사자에 대해서는 중국 등을 다녀온 뒤 14일간 업무를 배제하며, 해외여행 이력이 없더라도 기침, 발열 등 관련 증상이 있을 경우에도 관련 업무를 배제하고 필요 시 검사를 실시하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행정안전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자가격리자 관리 강화 ▲시도별 접촉자 격리시설 확대 ▲선별진료소 운영 점검 ▲병상·인력 운영계획 내실화 등 지역사회 전파 방지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7일부터 시도별 병상·인력 운영계획에 대한 1:1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며, 요양병원·시설 등 취약시설 감염예방 조치상황에 대해서도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합동점검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국내 29번째 코로나19 환자(82세 남성, 한국인)는 15일 오전 가슴 통증(심근경색 의심 증상)으로 동네 의원 두 곳을 거쳐 서울 고대안암병원 응급실을 찾았다가 확진됐다.

29번 환자의 아내(68세, 한국인)도 자가격리 상태에서 양성 판정을 받아 30번째 확진자가 되었다.

최종 역학조사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두 환자 모두 해외여행 이력이 없고 환자 접촉자로도 관리 되지 않아 감염경로가 불명확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사진제공=서울대병원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