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식료품 구매비중 5년만에 최저… "1인 가구·외식·배달 증가 영향"

이미선 기자

기사입력 2020-01-14 14:11


식자재 구매비가 가계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14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2019년 1~3분기 가계의 명목 국내 소비지출액(656조86억원) 중 11.42%(74조8956억원)가 식료품·비주류 음료를 사는데 쓰였다. 이 비율은 1~3분기 기준으로 2014년(11.39%) 이후 가장 낮다.

가계 소비에서 채소,육류 구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소득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특징이 있다. 소득이 늘수록 집에서 먹고 마시는 필수적인 지출 외에 여행이나 오락 등 여가활동에 쓰는 비용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소비에서 식자재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4년 11.39%를 기록한 후 2017년 11.55%까지 치솟았다. 2017년에는 여름철 폭우·폭염에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더해지며 식료퓸 및 비주류 음료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47%까지 상승했다. 이후 2018년 11.53%로 소폭 하락하더니 지난해에는 더 하락했다.

이는 가계 소비가 전체적으로 늘어났다기보다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고 집밥 대신 외식이나 배달을 선호하는 문화가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계가 돈을 얼마나 썼는지를 보여주는 가계의 국내 소비자지출액은 2019년 1~3분기에 2018년 같은 기간 대비 2.6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율은 2015년 1~3분기(2.10%) 이후 가장 낮았다.

반면 외식이나 배달 등이 포함된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지출액은 68조5715억원으로 2018년 같은 기간 대비 4.88% 증가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인 가구가 증가하며 집에서 요리해 먹기보다 외식이나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들이 늘었다"며 "대형마트에 가서 식료품을 사더라도 간편 조리식품을 소량으로 구매하는 경향도 강해졌다"고 설명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통해 "39세 이하 가구주에서 식재료 등 식료품 구입 비용은 감소하고 외식 등 음식·숙박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