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수두 환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보건당국이 예방접종, 기침 예절, 올바른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해 감염되는 수두는 미열로 시작해 발진성 수포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평균 14~16일 정도의 잠복기 후 증상이 나타난다. 전염성 질환으로 수포가 발생하기 1~2일전부터 발생 5~6일 정도를 전염기간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4~6월, 11~1월 유행을 하며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등 단체생활을 하는 0~12세가 전체 연령의 88.9%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강한 전염성 질환인 만큼 단체 생활을 하는 보육시설 및 학교 관계자들과 해당 연령층의 가정에서는 겨울철 수두 유행 시기에 같한 주의가 필요하다.
수두는 가족 내 2차 전파율이 약 90%일 정도로 전염력이 수두를 앓은 적이 없거나 예방접종미실시자라면 예방접종을 실시해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보통 생후 12∼15개월 사이 수두 예방접종을 1회 실시한다. 접종 여부를 모르는 경우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등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대동병원 달빛어린이병원 이균우 진료부장(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은 "수두 예방접종을 받은 70~90%의 사람들은 수두에 걸리지 않으며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가볍거나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되므로 반드시 접종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며 "수두 유행시기에는 증상을 잘 파악해 증상 발생 시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해 진단 및 증상에 따른 치료와 격리를 하도록 하며 수포 딱지가 모두 앉은 후 의료진으로부터 전염력이 없다는 진단 후에 등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수두를 포함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기침·재채기 시 손이 아닌 옷소매 등으로 입·코 가리기 ▲비누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 씻기 ▲예방접종 적기에 접종하기 ▲증상 발생 시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않기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내원 ▲전염 기간 등원·등교하지 않기 등 예방 수칙을 지키도록 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