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더 커졌다.
특히 정시확대, 자사고·특목고 폐지 등 입시제도 개편으로 학군이 잘 갖춰진 목동과 강남 지역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서울 아파트 가격 인상을 구별로 보면 양천구 아파트 값이 0.31%로 가장 많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주 강남구 아파트값도 0.19%에서 이번주 0.27%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서초구도 0.16%에서 0.20%로 오름폭이 커졌다.
강남구 삼성동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축 허가 등 개발 기대감이 커지며 인근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영등포구(0.15%), 동작구(0.14%), 마포구(0.10%), 용산구(0.08%) 등 비강남권 인기지역에선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았던 아파트들이 '키 맞추기'식 상승을 보였다.
경기도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폭은 서울을 능가했다.
이 가운데 과천시는 0.88% 올라 경기지역 최고 상승률을 이어갔다. 하남(0.59%), 광명(0.34%), 평촌신도시(0.41%), 용인 수지(0.56%) 등 서울 인근 지역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과천시는 과천 주공1단지 후분양으로 고분양가 후폭풍이 계속되는데다 분양가 상한제 대상 지역 제외, 공공아파트 분양 차질 등으로 기존 아파트쪽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있다.
반면 지방 아파트값은 0.05%로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강원(0.10%), 전북(-0.08%), 충북(-0.04%) 등에서 약세를 보였으나 경남 아파트값은 0.01% 올라 2016년 2월 첫째주(0.02%) 이후 3년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대전(0.32%), 부산(0.11%), 대구(0.05%) 등 주요 광역시는 재개발 움직임이 있거나 규제 완화의 영향을 받아 상승세가 이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도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9% 올랐다.
서울이 0.10%로 오른 가운데 서울 대표 학군 지역인 양천(0.27%)·강남(0.22%)·서초구(0.12%) 등의 전셋값이 많이 올랐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