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범진 교수가 최근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콩그레스에서 열린 제32회 유럽 헬리코박터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했다.
그 결과, 현재 보험인정 약제인 7일 표준삼제요법의 제균율은 63.9%으로 1차 치료제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10일 동시치료법과 10일 순차치료법의 제균율은 각각 81.2%, 76.3%로 표준삼제요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월한 치료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세 치료군 간에 부작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앞으로는 동시치료법이나 순차치료법으로 1차 제균치료법을 변경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임상진료지침의 개정과 보험 기준의 변경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아울러 위암 발생의 위험인자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의 표준치료법에 관련한 진료지침 변경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