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자인대 파열은 주로 축구나 스키, 테니스와 같이 활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 발생한다. 무릎에 강한 힘을 줘 방향을 급격하게 전환하거나 꺾는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교통사고 등의 외부 충격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보통 환자의 60%가 부상 발생 시 무릎에서 '뚝'소리가 나는 파열음을 듣는다.
십자인대는 무릎의 앞, 뒤에 위치한 X자 모양의 인대다. 앞쪽에 위치한 인대를 전방 십자인대, 뒤에 있는 인대를 후방 십자인대라고 부른다. 십자인대는 대퇴골(넙다리뼈)과 종아리뼈의 위치를 고정시켜주어 관절운동의 정상적인 범위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십자인대 파열은 환자의 성별 나이 무릎관절의 안정성 내측부 인대 파열 반월상 연골 파열 동반 여부 직업, 스포츠 활동 정도 사회적 요인 등을 고려해서 수술적 치료 또는 보존적인 치료를 할지 결정한다. 개인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실시하기 때문에 전문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활동량이 많은 젊은 환자들의 경우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관절의 운동 범위를 늘리고 근력을 강화를 위해선 수술 전·후에 전문 재활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미사 튼튼병원 관절외과 김성태 원장은 "십자인대 파열 등 무릎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치료와 수술을 선택하기보다 평소 무릎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단한 스트레칭으로 무릎의 긴장을 습관적으로 풀어주기만 해도 십자인대 파열을 예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김성태 원장은 이어 "십자인대 파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치하게 되면, 반월상 연골판 파열 등의 2차적인 손상이 동반되어 비교적 어린 나이에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스포츠조선 doctorkim@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