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스피커를 활용한 돌봄서비스가 독거노인 복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감성대화를 통한 심리적 안정을 비롯해 위급상황 노인 3명을 구하기도 했다.
눈길을 끄는 것은 독거노인의 감성대화 이용 비율이 일반인(4.1%)보다 3배 이상 높았는 점이다. 감성 대화의 비중이 높은 것은 독거노인이 '누구'를 의인화해서 생각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AI스피커가 외로움을 달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이다.
특히 조사 대상자 중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없는 독거노인이 AI 스피커를 평균 58.3회 사용해 스마트폰·인터넷을 보유한 독거노인(30.5회)보다 2배 정도 많이 이용했다.
데이터 분석 대상 노인의 평균 연령이 75세, 최고령 노인은 99세로 스마트 디바이스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도 AI 스피커에 적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독거노인 3명은 AI 스피커의 긴급 SOS 호출기능으로 119·응급실과 연결돼 위험한 순간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AI 스피커는 독거노인이 "아리아, 살려줘" "아리아, 긴급 SOS" 등을 외칠 경우 위급상황으로 인지해 ICT케어센터와 담당 케어 매니저, ADT캡스에 자동으로 알려준다. ICT케어센터는 위급상황이라고 판단하면 즉시 119에 연계한다.
한편 SK텔레콤과 행복한 에코폰은 보라매병원과 함께 노인을 위한 인지훈련 향상 게임을 개발 중이다.
SK텔레콤 측은 "어르신의 AI 돌봄서비스 사용 데이터를 수집·분석한 결과가 정부와 지자체가 데이터에 기반해 효과적인 복지정책을 기획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한 독거 어르신 돌봄의 범위와 수준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