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종투사 기업 신용공여 '대기업 쏠림' 여전…전체 70% 육박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9-07-08 14:16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의 기업 신용공여(대출) '대기업 쏠림'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8일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대형 증권사인 종투사 7곳의 지난 2월 말 현재 신용공여 총액이 29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용공여 유형별로는 투자자 신용공여 18조9000억원, 기업 신용공여 10조원, 헤지펀드 신용공여 3000억원 순이었다.

기업 신용공여액을 증권사별로 보면 메리츠종금증권이 3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미래에셋대우(1조5000억원), NH투자증권(1조4000억원), 한국투자증권(1조3000억원), KB증권(1조1000억원), 신한금융투자(1조원), 삼성증권(5000억원) 순이다. 자기자본 대비 기업 신용공여액 비율은 역시 메리츠종금증권이 90.6%로 가장 높고 신한금융투자(30.1%), 한국투자증권(29.1%), NH투자증권(28.2%), KB증권(24.5%), 미래에셋대우(18.7%), 삼성증권(11.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증권사의 기업 신용공여액 중 중소기업 대출이나 중소기업 기업금융(프로젝트파이낸싱·인수금융 등)에 쓰인 금액은 3조934억원(30.9%)에 불과했고 대기업 대출이나 대기업 기업금융에 쓰인 자금은 6조9087억원(69.1%)에 달했다.

금융당국은 종투사의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해 지난해 종투사의 신용공여 한도를 종전 자기자본의 100%에서 200%로 늘려주고 늘어난 100%는 중소기업·기업금융 관련 신용공여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종투사 신용공여 총액은 이들 증권사의 자기자본(33조5000억원) 대비 86.9% 수준으로 한도(200%)를 크게 하회하며 여전히 대기업 신용공여 비중도 큰 상황이다.

금융위는 종투사 자금이 벤처·중소기업 등 혁신기업에 투자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과 관련, 지난달 28일 종투사들과 간담회를 열고 "종투사의 혁신기업에 대한 투자가 미흡한 측면이 존재한다"며, "이에 종투사들이 혁신성장 지원, 투자 수익률 제고 등을 위해 벤처·중소기업 등 혁신기업 투자를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종투사는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증권사가 기업금융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도록 2013년 도입된 제도다. 종투사로 지정되면 일반 증권사들에 허용된 투자자 신용공여 이외에 기업 신용공여, 헤지펀드 신용공여 업무를 할 수 있고 이 가운데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이 되면 초대형 투자은행(IB)으로도 지정받아 발행어음 사업 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