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리디스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도 부르며, 현대인의 고질병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매우 흔한 척추질환이다. 추간판이란, 척추의 뼈와 뼈 사이를 이어주는 연골 구조물을 말한다. 크게 중앙에 위치한 수핵과 수핵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구성되며,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를 보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와 같은 추간판에 어떠한 문제가 생김으로써 수핵이나 섬유륜이 신경관 내로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해 허리에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보통 허리디스크라 한다.
허리디스크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외에도 의자에 비스듬하게 기대어 앉는 경우,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이 있는 경우, 옆으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습관이 있는 경우,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허리에 심한 부담이 간 경우, 허리에 부담을 주는 운동을 과도하게 한 경우, 허리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 등이 있다. 이외에도 노화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 흡연이나 음주를 자주 하는 경우, 비만인 경우에는 허리디스크 발생률이 더욱 높아진다.
게다가 질환이 진행될수록 다리가 가늘어지면서 힘이 없어지고, 잘못되면 하반신 마비에 이를 위험성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혹시 허리디스크라고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났다면 시급하게 병원을 방문하여 정밀한 진단을 받은 후, 그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광명시에 위치한 광명21세기병원 전형준 대표원장은 "허리디스크는 수술을 통해서만 치료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분명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허리디스크는 내시경 시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으로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시경 시술이란 6mm 정도의 최소 절개를 한 후 가느다란 관을 넣고, 이를 통해 내시경을 직접 보면서 미세한 겸자와 레이저를 사용해 디스크 수핵을 고치는 치료법이다. 국소 마취로 진행하므로 전신마취가 어려운 노약자, 혹은 당뇨가 있는 환자도 시술이 가능한데다, 신경을 건드리지 않고 정상 디스크 수핵을 그대로 보존한 채 병적인 수핵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신경 유착의 발생 빈도가 낮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이 치료법은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시행하는 병원이 상당히 드문 편이다. 따라서, 내시경 시술을 받으려면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상주하는지 확인한 후에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지난 5월30일, 미국의 Jagannathan Neurosurgery의 대표이자 신경외과 전문의인Dr. Jay Jagannathan이 척추내시경 연수를 위해 광명21세기병원에 방문하였다. Dr.Jay Jagannathan은 척추수술, 신경외과 분야에서 수많은 논문과 저서를 출간한 의사로 최근 Detroit Magazine과 Becker's Spine의 Top Dortor 로 선정된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특히 최소 침습 치료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광명21세기병원의 전형준 병원장과 함께 척추내시경 시술에 대한 칼럼을 공동집필을 한 특별한 인연도 가지고 있다. Dr.Jay Jagannathan은 두번째 만남을 가진 광명21세기병원의 전형준 병원장과 척추 수술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학술교류의 의의를 다지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광명21세기병원은 2018년부터 꾸준히 해외의료진과의 교류를 통해 척추 치료에 대한 지식을 넓혀가며 환자에게 더욱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스포츠조선 clinic@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