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편의점 수입맥주 선호도 확 바꼈다…일본 맥주 약세 속 중국 맥주 급부상

이정혁 기자

기사입력 2019-06-20 15:13


일본 맥주는 김 새고 중국 맥주가 톡 쐈다.

CU가 4캔에 1만원 행사로 크게 성장한 편의점 수입맥주 시장의 최근 5년 간 국가별 맥주의 매출 비중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던 일본 맥주의 입지가 흔들리며 중국 맥주가 급부상했다.

CU의 2014년 국가별 맥주 매출 비중을 보면, 일본 맥주(아사히 등)는 전체 수입맥주 중 38.1%의 비중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지만 5년이 지난 올해(1~5월)는 그 비중이 27.5%로 10% 이상 줄어들었다.

아직까지 일본 맥주가 상대적인 매출 비중에서 우위를 지키며 1위 자리를 수성하고 있지만 다양한 맛과 종류로 무장한 다른 국가 맥주들의 추격이 매섭다.

가장 두각을 나타낸 건 바로 칭따오를 앞세운 중국 맥주다. 2014년까지만 해도 중국 맥주의 비중은 4.9%에 머물렀지만 올해는 10.2%로 2배 이상 뛰며 매출 순위 7위에서 단숨에 3위 자리를 꿰찼다.

'양꼬치엔 칭따오'라는 유행어가 생길 정도로 최근 몇 년 간 양꼬치, 마라탕, 꿔바로우 등 중국 음식들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대중화 되면서 덩달아 이와 함께 마시는 중국 맥주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다

유럽 등 다른 나라 맥주들의 경쟁도 치열했다.

일본 맥주에 이어 2위 자리를 꾸준히 지켜오던 네덜란드 맥주(하이네켄 등)는 그 비중이 10.3%에서 9.8%로 비중이 감소하며 4위로 내려 앉았고 기존 4위였던 벨기에 맥주(호가든 등)가 9.9%에서 14.0%로 약진하며 네덜란드 맥주와 순위 바꿈 했다.


또한, 2014년엔 10위권 밖에 있던 프랑스 맥주(크로넨버그 1664 블랑)가 올해는 매출 5위로 치고 올라왔다.

그 돌풍의 중심에는 크로넨버그 1664 블랑이 있었다. 부드럽고 달달한 과일향 맥주로 유명한 이 상품은 젊은 여성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5년 전 대비 매출이 15배나 뛰었고 이 덕분에 프랑스 맥주의 매출 비중도 기존 1.0%에서 8.2%까지 치솟았다.

반면, 과일맥주의 대명사 KGB로 매출 상위를 차지하던 뉴질랜드 맥주는 유럽 맥주의 다양한 맛과 공격적인 마케팅에 밀려 2014년 8.9%의 매출 비중이 올해는 1.4%까지 쪼그라들며 아예 10위 권 밖으로 밀려났다.

버드와이저, 밀러 등 1세대 수입맥주로 불린 미국 맥주 역시 2014년 10.2% 비중으로 매출 3위를 기록했었지만 올해는 6.8%로 감소하며 그 순위가 6위로 떨어졌다.

이 외에도 체코(3.0%→5.8%, 코젤 등)와 독일(1.6%→4.4%, 파울라너 등) 맥주가 각각 2단계씩 순위 상승했고 아일랜드(6.8%→4.1%, 기네스 등), 덴마크(3.3%→2.4%, 칼스버그 등) 맥주는 그 순위가 소폭 하락했다.

이러한 양상 속에 국가를 묶어서 본 지역별 맥주의 비중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CU의 2014년 수입맥주의 지역별 매출 비중은 아시아(43.0%), 유럽(36.8%), 북미(10.2%), 기타(10.0%)의 순서였지만 올해는 유럽(49.8%), 아시아(41.4%), 북미(6.8%), 기타(2.0%)로 유럽 맥주가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며 크게 성장했다.

BGF리테일 음용식품팀 이승택 MD는 "수입맥주 4캔에 1만원 행사가 편의점의 대표 행사로 자리매김하면서 관련 상품 수 역시 5년 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며 "최근 혼술, 홈술 문화 확대 등의 사회적 변화로 편의점에서 주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관련 마케팅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