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여 만에 시중은행 보증부 가계대출 증가액이 1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증부 가계대출이란 아파트 중도금 대출이나 전세자금 대출과 같이 주택도시보증공사 등에서 보증을 받는 대출이다.
금융기관으로선 보증부 가계대출이 공적 기관 보증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에 비해 위험은 낮은데 금리는 오히려 높기 때문에 적극 대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014년∼2019년 3월 보증부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3.33%로 담보부 대출(3.20%)보다 높았다.
단, 대출에서 부실이 발생해 보증기관이 원리금을 대신 갚아주는 비율(대위변제율)이 크게 오를 경우 최대 3조7000억원의 자기자본 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9∼2021년 중 대위변제율이 평균 수준 이상 상승할 경우 1조4000억원, 평균 수준을 크게 상회할 경우 3조7000억원의 자기자본 부족이 나타났다. 다만 올해 3월 말 기준 보증부 가계대출 연체율은 0.19%로 전체 가계대출(0.27%)보다 낮아 대출 건전성은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