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행성관절염, 연골판 혹은 인대손상까지 무릎통증 시 떠오르는 질환이다. 하지만 통증 부위가 무릎 뒤쪽이라면 손을 가져다 만져보자. 콩알 크기부터 계란만 한 혹이 만져진다면 원인은 베이커 낭종(슬와낭종) 탓이다.
북미 관절경학회(AANA)마스터코스 수료 및 국제 무릎관절센터 수련을 거친 연세건우병원 무릎전담팀 조승배 원장은 베이커낭종은 무릎의사의 전문 진단에 따른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베이커낭종 역시 크기, 증상에 개인차가 있다. A는 추적관찰 처방을 받을 수 있지만 B는 빠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경미한 경우라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혹이 손으로 만져지고 눈에 띌 정도로 커서 앉거나 걸을 때 통증이 있다면 치료가 필요하다"
비절개 내시경 통해 당일수술/퇴원 원스톱 진행
베이커낭종은 제거가 근본치료다. 고식적 방식은 부위를 절개하는 개방형 수술로 진행되었다. 수술예후는 좋지만 절개에 따른 통증/치료지연 문제와 앞서 말한 관절 내 손상의 동반치료가 어려워 추가치료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비절개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조승배 원장은 "관절내시경은 피부절개 없이 낭종을 제거한다.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15분 내외 짧은 시간 내 가능해 수술 당일 걸을 수 있을 만큼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그리고 검사 시 연골판 손상과 같은 동반질환이 있다면 동시치료가 가능하다. 따라서 추가치료에 대한 심리/경제적 부담 감소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하며
"다만 치료 시 관절내시경만 생각해선 안된다. 독일의료진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베이커낭종 술 후 평균 재발률은 14%이다. 앞서 말했든 낭종 크기에 차이가 있고, 발생 위치도 세분화 하면 내/외측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크기, 위치, 상태를 종합한 선별적 내시경제거술 시행 가능한 무릎의사를 찾아야 만족스런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당부했다.
실제 조승배원장 수술팀에서 밝힌 선별적 관절 내시경제거술의 장기추시 연구결과 평균 합병증 발생률은 2%, 동반된 연골판 및 연골손상의 동시치료 시행률은 98%를 보였다. 따라서 치료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관절내시경과 함께 무릎의사와 시스템도 꼭 확인하길 바란다. <스포츠조선 clinic@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