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건강검진시 암 발견 1000명당 4명…"암 예방·치료위해 검진 필수"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19-05-15 11:13


현대 의학기술이 크게 발전했지만 아직까지도 가장 치명적이고 무서운 질병은 '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암의 치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수술치료 및 항암요법, 방사선 치료 등 암세포를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적극적 치료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통증 치료, 재활 치료, 호스피스 치료 등이 있다.

하지만 암을 예방하고 조기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건강검진이 아직까지도 제일 효과적이라고 확인할 수 있는 통계자료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센터장 김영균 교수)는 2018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개인과 기업소속 총 2만4475명의 검진자를 대상으로 외래진료 연계 및 암 진단 환자를 통계 조사했다.

조사 결과 3439명을 외래진료로 연계했으며, 이 가운데 95명인 0.4%가 암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확진된 암의 종류를 살펴보면, 위 24건, 유방 19건, 폐 8건, 결장 7건, 갑상선 6건, 전립선 5건, 직장 5건 등 한국인의 사망원인 5대 암으로 불리는 종목들이었다.

2016년 보건복지부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새로 발생한 암환자 수는 22만 9180명이며, 암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286.8명인 0.28%로 서울성모병원에서 건진을 통해 암 확진판정을 받은 인원과 단순 비교 시, 약 1.6%로 건진이 보다 효율적으로 암을 발견해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김영균 센터장은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초고속으로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질환 또한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며 건강검진을 적극 권장했다.

김 센터장은 또한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검진 전문 인력이 갖춰진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며 "전문의 외에도 영영사와 운동처방사 등 검진 이후도 수진자의 건강을 평생 관리해줄 수 있는 곳을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검진센터는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가진 11개 진료과 27명의 교수급 의료진과 130여 명의 숙련된 전문 인력(영양사·운동처방사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위내시경의 경우 임상경험이 최소 5년 이상인 소화기내과 교수가 검사와 판독을 직접 하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MRI 검사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