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준비 중인 성인들이 생각하는 적정 노후생활비는 월평균 250만원이지만, 10명 중 6명은 노후자금이 절반가량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 수준을 진단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5.7%가 공적연금에 의존해 노후를 준비하고 있었고, 27.0%는 건강증진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있었다. 과반인 53.8%가 여가생활을 즐기지 못하고, 42.1%는 고립되거나 친족 중심의 사회적 관계에 의존하고 있었다.
노후준비를 위해 필요한 과제(중복응답)로는 '노후 적정생활비 설계하기'(32.3%)가 가장 많이 꼽혔고, '1개 이상의 여가 갖기'(31.4%), '1일 30분 이상 운동'(21.8%), '식습관 진단 및 개선'(14.5%) 등이었다. 상담자의 58.7%가 상담 시 선정한 개선과제를 실행에 옮겼고, 39.7%는 실행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특히 노년기 진입 직전인 신중년(50∼64세) 세대의 실천 완료율은 64.1%로 다른 연령층에 비교해 월등히 높았다.
한편 공단은 전문상담사 57명을 전국 16개 지사에 배치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개인별 노후준비 수준을 진단하고 맞춤형 준비 방안을 컨설팅해주는 전문상담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상담 신청은 16개 지사 노후준비서비스팀에 전화하거나 '내연금' 홈페이지,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등을 통하면 가능하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