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프랜차이즈업계의 치킨 가격인상을 두고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치킨프랜차이즈업체들은 배달 유료화로 인해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은 닭고기 원가 하락은 반영하지 않고 가격인상에만 나서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연평균 매출액은 BBQ치킨(6.8%)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업체가 14% 이상 증가했고, BHC는 26.4%가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의 경우 네네치킨이 5년간 연평균 31.0%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5개 업체 모두 연평균 5% 이상씩 증가했다.
치킨 프랜차이즈업체의 매출과 영업이익의 증가는 신메뉴의 높은 판매 가격 인상에 기인한다. BHC와 BBQ치킨 등은 최근 3년간 신메뉴 가격을 살펴보면 기존 오리지널 프라이드치킨보다 약 6.7∼21.9% 인상된 가격으로 출시됐다.
그러나 BHC는 2013∼2017년 사이 신메뉴 출시로 인해 영업이익이 평균 43.1% 증가했고, BBQ치킨은 2015년 2월 갈릭스 시리즈와 치즐링 등 2가지 메뉴 출시 이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58.5% 증가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주요 원재료인 닭고기 가격이 최근 5년간 하락세를 보였음에도 가격을 인하하기는커녕 기존 메뉴보다 높은 가격에 신메뉴와 세트 메뉴를 출시해 우회적 가격 인상을 시도했다"며 "내년부터 닭고기 유통가격 공시제도 의무화로 가맹본부가 가맹점에 공급하는 원재료비가 공개될 경우 소비자가 납득하지 못할 수준의 가격 인상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