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IT업계, 키즈 콘텐츠 시장 공략 박차…AI·AR 신기술 접목 활발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8-05-14 14:04


국내 이동통신사 등 플랫폼 업체들이 키즈 서비스 강화에 나섰다. 키즈 콘텐츠에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AR) 등 신기술을 접목하며 새로운 서비스를 앞 다퉈 선보이고 있는 것. 이는 자녀를 위해서라면 돈을 아끼지 않는 부모 세대를 공략하고, 충성도 높은 미래 고객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어린이용 미니폰에 AI 플랫폼 '누구'를 탑재했고, 네이버는 유아용 단어학습 콘텐츠 '파파고 키즈'와 음성인식 인공지능을 적용한 키즈폰 '아키'를 출시했다.

KT는 이달 초 AI 스피커 '기가지니'에 소리동화, 오디오북 등 어린이 콘텐츠를 대거 추가했고, 미취학 아동과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 대상의 양방향 놀이학습 서비스를 선보였다. 최근 선보인 어린이용 패키지 서비스 '키즈랜드'를 통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핑크퐁' '뽀로로' 전용 무료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이달 중 인기 애니메이션 '공룡메카드'를 주제로 한 AR 콘텐츠도 제공 중이다.

LG유플러스는 일찌감치 작년 8월 구글과 손잡고 U+tv 아이들나라에 어린이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 키즈를 탑재했다. 카카오는 이달 AI 스피커 카카오미니에 유명 유튜브 크리에이터 '도티'·'잠뜰' 등이 자녀의 이름을 부르며 칭찬해주는 기능을 추가했다.

국내 통신사와 포털 등은 이미 지난해부터 키즈 서비스와 콘텐츠를 앞세워 이용자 확보에 열을 올려왔다. IPTV에서는 영유아 가정의 TV 시청시간이 일반 가정보다 20% 긴 것으로 알려져 고객 유인 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LG유플러스의 경우 아이들나라가 출시된 작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매 분기 IPTV 가입자가 전년 동기보다 15% 넘게 늘었다. 3사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인터넷 방송 사업자인 CJ E&M의 '다이아TV'에서는 최근 4년간 키즈 분야의 누적 조회 수 비중이 34.5%로 게임(26.1%)을 앞질렀다.

업계 관계자는 "키즈 서비스는 미디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기존 요금제와 결합한 마케팅이 수월해 키즈 관련 시장 서비스를 두고 업체간 경쟁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IT업계가 키즈 콘텐츠 시장 강화에 나서고 있는 것은 글로벌 추세다. 미국 아마존은 지난달 어린이용 오디오북과 질의·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AI 스피커 '에코 닷 키즈에디션'을 선보였다. 유튜브는 2015년 2월 어린이 동영상 '유튜브 키즈'를 출시해 35개국에서 110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했다. 누적 조회 수는 300억회를 넘어선 바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