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K텔레콤, 5G급 초고속 차세대 패킷 교환기 개발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8-05-14 12:35


SK텔레콤이 삼성전자와 '차세대 패킷 교환기' 개발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패킷 교환기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이 인터넷 망으로 접속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곳이다.

SK텔레콤은 작년 11월 기존 대비 10배 이상 빠른 테라비트(Tb)급 패킷 처리 가속 기술을 개발했고, 삼성전자와 해당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패킷 교환기 상용 장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차세대 패킷 교환기는 빠른 처리 속도 외에 자동으로 서비스 별 트래픽 특성을 구분하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는 특징을 지닌다. 기존 패킷 교환기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특성 구별 없이 일괄 처리했다.

이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멀티태스킹)해도 각 서비스 트래픽을 개별적으로 처리한다. 복수의 서비스에서 동시에 트래픽이 들어올 때 발생하는 병목 현상도 최소화한다.

스마트폰에서 음악을 듣고 웹서핑을 하며 고용량 영화를 다운로드 받는 등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 패킷 교환기가 자동으로 서비스 별 트래픽 성격을 구분하고 인터넷 망 연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때문에 고객이 동시에 여러 서비스를 쾌적한 환경에서 즐길 수 있는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SK텔레콤 측은 "차세대 패킷 교환기는 5G 시대에 등장할 새로운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장비"라고도 강조했다. 5G가 상용화되면 가상현실·증강현실은 물론 홀로그램과 같은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자율주행차 등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서비스가 등장하는 만큼 서비스 별 트래픽을 나눠 5G의 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을 최대 효율로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5G 상용화에 앞서 올해 하반기 중 LTE망에 차세대 패킷 교환기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차세대 패킷 교환기와 같이 5G 네트워크 성능을 최대로 끌어낼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확대하고, 국내 장비 업체, 중소기업이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육성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