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보급이 확대되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교통사고 외에도 차량 이용 중 다양한 안전사고(이하 '비충돌사고', non-crash incidents)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문이나 창문의 경우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가 각 72.3%(1868건), 77.3%(58건)로 가장 많았고 트렁크는 머리를 부딪치는 사고가 71.3%(174건)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증상은 타박상이나 열상(찢어짐)이 가장 많았지만, 골절·절단사고도 적지 않게 발생했다.
자동차 비충돌사고의 약 절반(49.9%, 1608건)은 만 14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했으며 주로 승용차를 운행하는 30∼50대도 34.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의 경우 문(83.3%, 1340건), '트렁크'(3.5%, 56건), '좌석'(3.1%, 49건) 순으로 비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인보다 좌석에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했다.
그 밖에도 시거잭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창문 틈에 목이 끼어 의식을 잃는 등 심각한 위해를 입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소비자원이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 5종의 취급설명서를 살펴본 결과 비충돌사고 관련 주의·경고 표시실태를 살펴봤더니 주의사항이 전혀 없거나 있어도 글씨가 작아 가독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기아자동차, 르노삼성,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현대자동차)는 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의 취급설명서에 비충돌사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고 가독성을 높이기로 했다.
아울러 소비자원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5개 제작사는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발족하고 소비자 안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KBL 450%+NBA 320%+배구290%, 마토토 필살픽 적중 신화는 계속된다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